수십년 지속된 Iceland의 저온성 지열이용
- 전문가 제언
-
○ 지열에너지자원(Geothermal energy resources)은 전력 생산과 난방을 위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구 내부의 열에너지이다. 지열에너지의 기원은 지구의 내부와 그 속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과정과 연계되어 있다. 이 열은 열전도와 심부에서 지각으로 올라온 관입암체에 의해 지표로 이동된 것으로, 지하수가 열수자원의 형태로 가열된 것이다.
○ 지구 내부로부터 자연적으로 얻을 수 있는 지열에너지는 방사성 원소가 붕괴 시 내는 열이 83%, 지구 중심부의 열이 17%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화산성 고온 지열에너지의 분포가 많은 나라에서는 반영구적인 친환경성 청정 재생 에너지자원인 지열자원을 개발하여 지열발전, 지역난방, 첨단시설 영농 및 어업단지 조성 등에 활용함으로써 환경보존은 물론 에너지 수입비용 절감 및 농어업의 경쟁력 제고 등을 하고 있다.
○ 지열에너지의 대표적인 징후인 온천수의 분류는 온천수의 화학성분에 기초한 분류, 지리적 분류, 지질학적 분류 및 온천욕의 효능 등으로 분류하며, 의학적 요양천은 온천수의 주요 성분의 농도에 따라서 단순온천, 황산염천, 산성천, 황천, 식염천, 함철천, 탄산수소염천, 방사능천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화산성 고온 지열에너지의 노출이 없는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약 50개소의 온천에서 저온성(40∼70℃)지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왔다. 최근 우리나라도 신?재생 에너지자원 탐사 및 연구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그 중 지열자원의 효과적 탐사 개발을 위하여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이 중심이 되어 우선적으로 지열류량(heat-flow) 분포가 높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부지역에 대한 저온성 지열에너지 탐사를 계속 수행하고 있으나 아직은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
○ 2005년 기준하여 지구상에서는 총 24개 국가에서 490기의 지열발전기가 가동되었으며, 세계지열발전 총 시설용량은 약 8,930MWe 규모이었고, 연간 발전량은 8,030MWe(57,000GWe)이었다.
- 저자
- Gudni Axelsson, Einar Gunnlaugsson, Thorgils Jonasson, Magnus Olafsso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39(4)
- 잡지명
- Geothermic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29~338
- 분석자
- 오*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