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기성소화 반응기와 광합성바이오 반응기를 통합한 바이오연료 생산 공정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연료를 생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크게 분류하여 생화학 변환방법, 열화학 변환 방법 그리고 광합성 작용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국내에서도 바이오연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가동되는 음식폐기물 이용시설만 보더라도 대부분은 사료나 퇴비 생산 시설이며, 바이오연료 생산시설은 미미하다. 유기성폐기물로부터 바이오연료 생산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바이오연료를 생산하는 여러 방법 중에는 혐기성 조건에서 바이오매스를 분해하여 바이오연료를 얻는 방법이 있다. 또한 광합성에 의해서 조류를 재배하여 바이오연료를 얻는 방법이 있다. 이 특허는 혐기성소화공정을 광합성바이오반응기와 결합하여, 혐기성 소화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탄산가스를 광합성바이오반응기에서 필요한 탄산가스 원으로 공급한다.
○ 이 특허가 청구하는 바이오연료 생산방법은 혐기성소화반응기와 광합성바이오반응기를 결합하여 통합된 시스템으로 운영한다. 혐기성소화공정에서 메탄가스를 생성하고, 부산물로 형성된 이산화탄소를 광합성바이오반응기에 보내어 사용한다. 광합성바이오반응기에서는 조류를 재배하여 트리글리세리드를 추출함으로서 바이오연료를 생산한다.
○ 이 특허가 청구하는 혐기성소화공정과 광합성바이오반응공정을 통합 운영함으로서,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경제적이고, 또한 대기 중에 배출하지 않으므로 환경오염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 국내에서도 많은 양의 유기성 고체폐기물이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광합성에 의해서 조류를 재배하여 바이오연료를 얻고자하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이 특허가 청구하는 혐기성소화공정과 광합성바이오반응공정이 결합된 공정을 국내 실정에 맞게 확립하는 것이 필요 하다.
- 저자
- PATANGLA, Melissa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80443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0
- 분석자
- 김*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