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트래픽 및 전력소비 동향
- 전문가 제언
-
○ 오늘날 정보통신 네트워크는 단순한 정보교환을 위한 도구에서 인본적 가치창출의 기반으로 발전하고 있는 단계에 있다. 실제로 지금까지의 네트워크 정책은 초고속망, 광대역망(BcN), 고도화 등을 통한 속도와 서비스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유무선 트래픽의 급증 등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면서 미래 네트워크의 발전 방향에도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네트워크 환경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지금까지 네트워크 인프라에 집중했다면 앞으로는 인프라와 서비스를 기획 단계부터 융합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 IT시대에 맞는 네트워크 정책은 기술 · 네트워크 · 공급자 중심에서 시장 · 서비스 · 수요자 중심으로의 변화를 동반하게 될 것이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스마트워크라 할 수 있다.
○ 네트워크는 경제 및 사회 영역에서 거대한 변화를 일으키면서 국가사회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세계 최고수준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정보화수준의 획기적 향상, 생활편익 향상, 네트워크 이용활성화에 의한 사회변화 촉진 등을 실현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유선보다 편리한 모바일 단말을 선호하며 모바일 트래픽은 매년 130%씩 증가할 전망이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초광대역융합망(UBcN : Ultra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구축계획을 추진함으로써 전송속도 1Gbps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 네트워크 트래픽의 급증에 따른 전력소비 대책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네트워크에서의 패킷전송에 따라 라우터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라우터 자체의 소비전력은 LSI 구동전압의 저전압화, 아키텍처의 재구성 등으로 삭감시킬 수 있다. 또한 그린 네트워크, 광 패스 네트워크를 개발함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Toshifumi Hasama, Hiroshi Ishikaw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93(8)
- 잡지명
- 電子情報通信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649~653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