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액화천연가스산업 개발현황

전문가 제언
○ 중국에서는 액화천연가스(LNG) 이용이 아직까지 초기단계에 있으며 주로 발전용으로만 이용되고 있다. 이는 LNG 수송을 위한 파이프라인 등의 국내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요 도시에서는 이미 도시가스 공급을 위한 시설들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간의 파이프라인만 건설되면 천연가스의 공급과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 중국에서 LNG 이용은 1995년에 처음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우리나라보다는 10여년 뒤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가적으로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해 석탄 사용량을 억제하고 있고 청정에너지 보급을 장려하고 있으므로 앞으로는 천연가스의 보급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현재까지는 석탄 중심의 에너지구조와 계절적 요인에 따른 천연가스 수급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천연가스 현물시장에서 수요의 대부분을 조달하고 있으나 국가적으로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에너지안보와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 차원에서 천연가스 이용을 장려하고 있고 이를 위해 국제시장에서의 영향력 증가와 이란 및 인도네시아 등의 해외자원 개발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도시지역의 LNG 파이프라인 건설이 완성되어 있으며 지방에도 파이프라인이 건설 중에 있어 천연가스 보급을 위한 내부구조가 거의 완성되어 가고 있어 중국보다는 앞선 상태에 있다. 그러나 중국은 일본 등과 협력하여 시베리아 등에 매장된 천연가스를 파이프라인을 통해 대량 수입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어 우리나라와 경쟁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국가 차원의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중국은 엄청난 인구를 보유한 경제대국이므로 LNG 공급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위한 산업적 수요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자료는 우리나라 관련 산업의 중국 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Guo-Hua Shi, You-YinJing, Song-LingWang, Xu-TaoZhang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38
잡지명
Energy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7457~7465
분석자
신*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