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전지의 개발동향
- 전문가 제언
-
○ 이 연구는 전기자동차?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전지의 개발동향으로, 일본은 성장 전략의 하나로 전기자동차용 첨단전지의 연구개발을 기획했다. 즉, 2010년까지 민간주도로 경비의 반감과, 2015년까지 산학관이 연대해서 1.5배의 고성능화와 경비저감에 있어서 1/7을 목표로 설정하여 진행시키는 것이다.
○ 고유가 시대에 전기자동차(EV)나 하이브리드 자동차(HEV)에 대한 관심은 폭발적이다. 이들은 정부, 기업, 개인차원에서 모두 갈망하는 기술로서 주변에서도 많이 사용할 정도로 일반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아직 몇 가지 편견만을 넘긴다면 우리의 일반적인 생각을 뛰어 넘을 것이다. 즉, 전기자동차는 약한 힘과 작고 느리다고 연상되지만, 슈퍼 카와 대결하여 속도를 뛰어 넘는 자동차도 있다.
○ 최근 저공해 배출가스의 저감기술과 연료효율의 향상을 위한 많은 형태의 하이브리드 자동차(HEV)를 볼 수 있다. 파워트레인 관련 부품들은 기존의 자동차와 비슷하지만, 배터리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다른 면을 가지고 있다. 특히, EV나 PHEV에서는 전지비용의 점유비율이 크기 때문에 전지비용 저감이 보급의 관점에서 최대 개발경쟁으로 되어 있다.
○ 전기자동차(EV)와 하이브리드 자동차(HEV)는 점점 일반화 되고 있으며, 시장의 요구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 완성차 회사에서도 차세대 자동차에 힘을 쏟고 있다. 배터리 시스템기술은 이와 같은 자동차들의 핵심을 이루고 있지만,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상황이다. 실제로 배터리는 차량부품 중에서 움직이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에 시각 및 청각적으로 잠재되어 있는 위험에 대해서 알 수 없다.
○ 최근, 독일의 자동차공업회로부터 자동차 탑재용 리튬이온전지 형상의 표준화(규격화)가 제안되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전기자동차 제조회사나 전지 제조회사에 있어서 커다란 영향을 받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M. Wata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58(12)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2~36
- 분석자
- 정*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