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외여과 공정에 부식기질 부착물
- 전문가 제언
-
○ 하 · 폐수를 친환경적으로 고도 처리하는 과정에서 막 여과가 우선적으로 검토되고 있지만, 짧은 라이프사이클과 농축액 처리문제로 막 여과가 널리 통용되지 못하고 있다.
○ 막 여과 과정에서 부착물에 의해 투과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약품세정을 위시해서 막 세정작업이 필수적이지만, 이러한 부착물의 생성메커니즘에 대해 완벽하게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
○ 이웃나라 일본에서는 정부 주도로 정수 또는 하수처리과정에서 막을 적용하는 연구를 실시해서 시설 표준화는 물론 공공시설에 설치하는 것을 장려하고 있다. 특히 정화조에 투과유속을 0.3㎥/㎡?day로 운영하면, 년 1회 약품세정으로 원만하게 관리할 수 있다고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단순한 폐쇄메커니즘으로 케이크여과, 중간폐쇄, 표준폐쇄 및 완전폐쇄 등 4개 메커니즘과 함께 단순모델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결합된 폐쇄모델도 소개하고 있다.
- 부식기질의 부착물에는 부식기질의 이화학적 조성, 막 조성 및 유체역학조건 등을 포함하는 수많은 인자가 관여된다. 또한 2가 이온 특히 칼슘이온이 부식기질 부착물을 촉진하고, 부식기질 부착물은 낮은 pH에서 더 심하다.
○ 현재 폐수처리를 위한 막 연구는 막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부분에 집중하고 있지만, 해수담수화 과정과 같이 에너지 회수문제를 비롯해서 농축액의 처리문제도 연구대상이 되어야 한다.
○ 국내에서도 막 생산업체를 중심으로 실용화를 위한 막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지만, 주요하천의 수질개선은 물론 막 표준화에 의한 시설비용의 절감 그리고 조기 적용을 위해 정부 주도로 통합적인 막 개발연구가 실시되어야 한다.
- 저자
- Iris Sutzkover-Gutma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261
- 잡지명
- Desalin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18~231
- 분석자
- 이*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