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환경 독물로 인한 무척추동물의 생리변화

전문가 제언

○ 오염토양의 생물은 유전자에서 생태적?군집 수준까지 연속으로 여러 가지로 스트레스를 받는다. 분자(mRNA 발현) 변화와 화합물질노출로 생화학·생리학적 변화가 육상무척추동물에서 부분적으로 일어난다. 독성생태학에서 전사체 이상의 계통발현이 확실하다. 세 가지 육상대형무척추동물 군의 전사체 분자유전학적 반응에 초점을 맞추었다.

○ “독성 유전체학(Toxicogenomics)”이라는 말은 독성학에 유전체를 적용하여 설명하려는 말이며 여기에서 “생태 유전체학(Ecogenomics)”과 “생태독성유전체학(Ecotoxicogenomics)”을 의미한다.

○ 1999년까지, 식물 켈라틴(Phytochelatin)까지 합성하는 금속해독경로는 식물에만 있다고 했다. 이는 기질이 환원 Glutathione인 식물 켈라틴 효소로 전사 후에 합성하는 펩티드다. 이는 금속에 친화력이 강한 Chelator제로 주로 Cd과 비산염을 해독한다.

○ 나노물질(NMs, Nanomaterials)은 특성이 있어 독특하게 행동한다. 이런 물질의 사용은 사람의 건강에 위험한 요인일 수 있고 환경에 번질 위험이 있다(대기, 물, 토양).

○ RDX노출은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에너지 대사, 단백질합성, DNA복제 등과 연관유전자를 유도한다. TNT노출은 TNT와 RDX 복합노출보다 유전자발현효과가 두드러진다. 3개 유전자발현은 복합으로 교란하며 Ferritin, Chitinase, Dopamine beta 모노산소첨가효소 등을 암호화한다.

○ 단백질결합 금속은 비 내성먹이에서 포식자로 영양을 옮긴다. 먹이생물로 따개비, 굴, 홍합 등과 포식자로 Thais clavigera(복족류)의 해양영양사슬에서 과립에 저장된 금속(Cd, Zn)은 포식자로 이동된다. 영양의 식물이용을 지렁이가 촉진하며 활성박테리아는 식물호르몬을 분비한다.

○ 우리나라는 분자생물학자가 환경에 관심이 없고 환경을 공부하는 생화학자는 분자생물에 여념이 없어 이런 연구는 생가지도 못하기 때문에 현재로 우리나라에서 이 분야의 연구는 요원하다.
저자
Franck Brulle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58
잡지명
Environmental Pollu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793~2808
분석자
곽*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