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친화적인 수성도장 시스템 개발
- 전문가 제언
-
○ 환경부의 2006년도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VOC 배출원은 도장이 전체의 44%로 가장 많다.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는 설비의 효율화나 제조설계에서의 삭감에 대응하지만 LCA 측면에서는 도료 제조 시의 기여는 크지 않다. 도장 단계에서의 CO2 삭감에도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기존의 수성도장은 VOC 삭감 효과가 크지만 희석제인 수분 증발과정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해 CO2 배출량이 증가한다.
○ 이 보고서는 도장공정의 집약화와 에너지 소비의 억제에 의해 CO2 배출량의 증가 없이 VOC 배출량을 대폭 삭감한 새로운 수성도장 시스템을 개발한 내용이다. 자동차가 5대 수출 품목인 우리나라의 경우 관련업계 및 단체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 자동차용 도료 제조업체로는 KCC, DAC, PPG코리아 및 KDK 등 4개사가 국내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특히 DAC는 2008년 화성시에서 자동차용 수성도료 생산공장 준공식을 가졌으며 상도 과정에서 중도를 함께 도장하는 저탄소 배출공법을 개발했다. 1차 자동차 부품업체 약 30%가 위치하는 경기도는 바스프사와 수용성 도장기술연구소 설립을 위한 투자협약을 2008년 10월 체결했다.
○ 최근 공업화의 진전에 따라 도료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종류가 대폭 증가하고 있어 환경 안전 문제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예방을 고려한 화학물질관리가 검토되고 있다. 도료는 제조에서 도장의 단계가 가장 폭로 가능성이 높으므로 우선 구성 화학물질의 유해성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한편 도막이 되면 그 위험성은 크게 낮아지지만 유해성이 매우 높은 재료는 대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수출 중심의 산업구조를 가진 우리나라는 최근 무역장벽화 되고 있는 EU, 미국 등의 선진국의 관련 법 규제와의 국제적 정합성의 확보도 매우 시급하다.
- 저자
- Takakazu Yamane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64(11)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83~88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