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조직공학에 poly(ethylene glycol) 하이드로겔의 생체활성 변경

전문가 제언
○ 조직공학에서 중요한 세 가지 요소는 세포, 지지체, 활성분자로 알려져 있다. 이 리뷰에서는 지지체로 널리 이용하는 poly(ethylene glycol) (PEG) 수화겔(hydrogels)을 생 활성을 갖도록 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

○ Hydrogels에는 그 원천에 따라 천연과 인공 하이드로겔로 나눌 수가 있으며 천연 하이드로겔은 콜라겐, 젤라틴, 피브린과 같은 단백질과, 알지네이트, 키토산, 히알루론산, 덱스트런과 같은 당당류에 기초한 폴리머 재료가 있다. 인공 하이드로겔은 PAA (poly(acrylic acid)), PEG (poly(ethylene glycol)), PVA (poly(vinyl alcohol)), PAAm (polyacrylamide), 폴리펩티드와 같은 인공폴리머이다.

○ Hydrogels은 조직재생과 수선에 있어 지지체의 좋은 재료로써 3차원 구조를 만들어 연조직의 유사한 자연환경을 제공할 수가 있다. PEG를 이용해서 만든 인공 하이드로겔은 구조와 화학적인 조성을 쉽게 조절할 수가 있고 광으로 폴리머를 조절할 수 있는 기계적인 성질도 가지고 있다.

○ PEG hydrogels 그 자체는 생체활성을 가지고 있지 않아 세포의 부착과 조직생성에 한계가 있다. 천연 세포외기질(ECM)은 생체활성의 지지체를 설계하고 제작하는데 좋은 모델이 되고 있어 PEG hydrogels을 특정한 ECM를 모방하여 특정세포에 반응하게 하는 전략이 흥미를 갖게 한다. PEG hydrogels에 ECM의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세포부착,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감성, 신호분자가 연결된 생체활성의 지지체가 가능하다.

○ 국내에서도 여러 연구소와 대학에서 생체조직공학에 대한 연구는 높은 수준에 있으나 그러한 생체재료를 이용하는데 있어 임상실험과 승인과정에 프로토콜이 만들어져서 임상에 적용하는 연구도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저자
Junmin Zh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31
잡지명
Bio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639~4656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