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친환경 자동차용 수지재료의 동향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의 친환경 자동차 개발은 주로 휘발유 및 경유자동차 시스템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와 SOx, NOx 등의 대기오염물 배출을 감소하는데 주력하였다. 2,000년에 들어와서는 수소 연료전지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2005년에는 정부지원 아래 자동차 사업단이 구성됨으로서 수소에너지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추진되어 지금은 상업화 단계에 있다.

○ 자동차는 여러 가지 편의성을 제공하는 한편 가솔린이나 경유를 연소시킴으로 CO2를 대량 방출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차량을 구성하는 재료에 있어 보통 소형자동차 구성비 추이는 수지 사용 비율이 2001년에 약 8.2%이었으나 지금은 약 9%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수지 중에는 폴리프로필렌의 증가가 컸는데 이의 원인은 수지 자체분자 구조를 제어하는 복합기술의 발전이 있었기 때문이다.

○ 일본의 경우 분야별 CO2 배출량은 2007년 총량이 1,340×106이었고 자동차와 관련한 운송부문의 배출량은 이의 19.1%를 점유하였다. CO2 배출량의 대부분은 주행 시 연료 연소로 발생하고 있어 연비 향상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가솔린 엔진 자동차의 차량 중량과 연비관계를 보면 자동차 연비는 차량 중량과 직접 관련이 있고 중량이 100kg 가벼워 지면 연비는 7~9% 개선된다고 본다.

○ 이글에서는 차량용 수지재료의 신소재로서 가장 기대대하고 있는 것이 식물로부터의 플로피렌 제조이다. 즉 바이오플로피렌이 제조되면 현행 프로세스로 PP를 제조할 수 있어 PP제품 부품을 그대로 대체시킬 수 있다. 이러한 루트는 바이오플로피렌의 공정이 길고 복잡하여 아직은 실효성이 있다고 하기 어렵다. 이의 기술을 실재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설계는 물론이고 가공과 신뢰성 평가 까지 포함된 종합적인 검토 작업이 필요하다.
저자
Yoshio Hoy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64(11)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3~28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