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케냐의 바이오폐기물 에너지 잠재력

전문가 제언
○ 유기성 폐기물의 통합소화에 의한 바이오가스 생산과 이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효율향상은 시급한 과제이다. 발생되는 유기성 폐기물 중 상당부분은 음식폐기물과 가축분뇨이며 이로부터 발생되는 바이오가스의 60% 이상이 메탄가스이다.

○ 폐기물 매립지 발생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은 우리나라에서 실용화단계에 접어들었지만 가축분뇨, 하수슬러지, 음식폐기물 등의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은 아직 연구?실증 단계이다. 2011년 말까지 유기성 폐기물 전량의 육상처분이 불가피해짐에 따라 현재 혐기성 소화를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활용기술 실증플랜트 10여개를 운영 중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몇 가지 신공법 적용 등 바이오가스 생산?이용기술이 개발되어 이에 대한 수출산업화에 노력하고 있다. 바이오폐기물의 혐기성소화 단계에서 반응조의 기능별 분리가 핵심이다. 산 생성조는 완충 역할을 지속하면서 양질의 유기산을 메탄 생성조에 공급하고 이를 공급 받는 메탄 생성조에서는 고효율 입상 슬러지를 배양, 고 순도의 메탄가스가 발생되도록 한다.

○ 이 자료는 케냐의 바이오폐기물의 특성별 바이오메탄 생성 잠재력에 관한 것이다. 혐기성 반응기를 이용한 바이오폐기물의 특성별 바이오메탄 생성률이 검토되고 pH 변화에 따른 바이오메탄 생성률 저하, 바이오폐기물 종류에 따른 메탄발생 억제요인 등이 지적되었고 바이오폐기물의 에너지잠재력이 매우 크다고 평가하였다.

○ 우리나라의 바이오가스 생산시스템처럼 기능별로 분리된 두 반응조를 사용한다면 이 자료에서 지적한 바이오가스 발생률 저하요인이 제거되거나 크게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효율제고 연구는 필요하겠지만 기본적으로 이 자료에서 제시한 바이오폐기물의 특성에 따른 영향은 크지 않아 에너지화의 폭을 확대시킬 수 있다고 본다.
저자
Charles Nzil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35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698~2704
분석자
김*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