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운전 지원시스템(DSSS)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개발
- 전문가 제언
-
○ 지구환경 보호의 차원에서 도로·차량 간 통신과 차량 간의 통신을 활용하는 협조 형 시스템에 대하여 안전뿐만 아니라 환경과 쾌적한 이동을 목표로 한 연구개발이 동시에 추진되고 있다. 또한 저탄소사회의 실현을 위하여 차세대 친환경자동차의 개발이 급진전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안전도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로 연구개발과 실용화가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 안전운전 지원시스템을 크게 분류하면 차량 단독 시스템인 자율 형 안전운전 지원시스템과 도로·차량 간의 통신과 차량 간의 통신을 이용하는 협조 형 안전운전 지원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실용화가 추진되어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자율 형 안전지원시스템은 매년 감소하고 있는 교통사고건수와 사망자 수에 기여하고 있다.
○ 일본에서는 협조 형 안전운전 지원시스템의 개발·실용화 프로젝트인 ITS-Safety 2010이 추진되고 있으며, 도로·차량 협조 형 안전운전 지원시스템(DSSS, Driving Safety Support System), Smart way, 그리고 차량 간의 통신에 의한 첨단 형 안전자동차(ASV, Advanced Safety Vehicle)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 미국에서는 안전과 동시에 기동성과 환경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IntelliDrive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2013년에 도입을 위한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안전뿐만 아니라, 기동성과 환경보호를 목표로 한 PReVENT, CVIS(Cooperative Vehicle-Infrastructure systems), SAFEPOT, COOPERS 등의 협조 형 프로젝트인 추진되고 있다. 한국은 고속도로 스마트 하이웨이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세계적인 표준화 작업을 위하여 유럽 연합에서는 Intelligent Car Initiative 2010에 의해 여러 가지 프로젝트를 연계하여 지원하고 있는 동시에 각국 간의 표준화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미국과도 협조 형 시스템의 공동연구와 국제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어 세계 공통의 안전시스템의 통합이 이루어질지 매우 깊은 관심을 끌고 있다.
- 저자
- Masafumi Kobayashi, Toshifumi Oota, Kinihiro Kamat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64(9)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3~48
- 분석자
- 진*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