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광색역 디스플레이와 그 전망

전문가 제언
○ 현상의 화상시스템의 색규격과 화상기기로는 바라는 특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위해서 현재의 TV규격을 넘는 각종 화상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그중의 하나가 광색역Display이다. 단, 광색역Display에 대한 반응은 보는 사람 입장에 따라 다르다. 현상의 화상기기 색규격(HDTV, s-RGB)내에서 충분하다는 입장과 색역을 넓혀서 TV만이 아니고 그 이상의 용도에도 화상기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싶다는 입장이 있다.

○ 광색역Display에 의해, 색역내의 색에 관해서 충실한 색재현(여기선 측색 적 색 재현을 나타내는 것)의 실현이 가능하면, 화상의 감성에 호소하는 힘이 보다 크고, 깊게 될 것이다. 색 관리에 엄한, 전자상거래, 의료등 다방면의 분야에 이용되도록 되면, 사람이나 물류의 이동을 현재보다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 하다고 생각한다.

○ 향후 화상기기의 색역을 어디까지 넓게 할까도 과제로 된다. 바라는 것은 그것이 시각 색역과 같게 하는 것이다. 즉 물체의 색역과 화상기기의 색역이 같은 것이다. 또 하나의 과제는 촬상과 표시의 색역을 같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Display색역이 만족하더라도 소스화상 즉 카메라가 광색역으로 촬영 안 되면 Display만으로는 별가치가 없다.

○ 따라서 화상의 촬영에서 표시까지 통합해서 생각할 경우 무엇이, 어디까지가 적당할까 의 문제도 있다. 그래서 광색역Display나 카메라의 개발에 명확한 조준이 필요하다. 금후는 촬영에서 표시까지 통합해서 색역 검토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국내현상은 우리 기업이 Display시장에서 세계우위를 달리고 있어 상당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2006년 삼성에서 세계최초로 고휘도 광색역을 실현하는 RGBW LCD, 5색 DLP TV, 6색 LCD를 개발하여, 개발자에게 Display및 이미지 영상처리분야 세계최고 전문가로 인정하고 그룹내 최고 기술자에게 수여하는 삼성펠로우로 임명한 예가 있다
저자
Yoshihumi Shimotahira, Kousuke Ouha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0
권(호)
64(7)
잡지명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959~966
분석자
권*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