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스텐 와이어의 지난 100년
- 전문가 제언
-
○ 오늘날 전 세계적인 이슈는 에너지 절감, CO2 배출 최소화, 지구 온난화 등 환경문제에 집중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전력의 약 19%는 수백만개의 전구를 밝히는데 소비된다. 이렇게 소비되는 에너지의 대부분(약 70%)은 방전램프로 소비되며, 나머지 30%는 백열등으로 소비된다. 그리고 전구 시장의 80%는 산업, 상업, 공공부문이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20%가 개인이 차지하고 있다.
○ 전구의 에너지 효율 및 수명을 개선하기 위해 본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텅스텐 필라멘트 성능 향상을 위해 많은 연구가 시도되었으며 그 결과 도핑된 텅스텐 와이어의 미세조직학적 발전으로 고온 크리프 강도에 있어서 많은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 하지만, 보다 우수한 텅스텐 필라멘트를 개발에 대한 여지는 남아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고온 크리프 강도에 대한 연구가 더욱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현재 전 세계적으로 희토류금속, 텅스텐, 몰리브덴 등의 희소금속에 대한 각국의 자원확보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다. 즉, 매장량이 한정되어 있는 텅스텐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필라멘트 재료에 대한 연구 및 필라멘트가 필요 없는 신개념의 전구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 저자
- P. Schad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28(6)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actory Metals and Hard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648~660
- 분석자
- 최*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