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실내, 실외 입자와의 관계

전문가 제언
○ 문명의 발전과 산업의 고도화로 인간이 실내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점차 증가해서 최근에는 85~90%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인체건강에 미치는 실내 환경기준을 엄격하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

○ 지금까지 밝혀진 실내 환경오염물질로는 새집증후군에 작용하는 화학물질, 생물 에어로졸, 입자물질 등이 있지만, 복합건물에서는 라돈, 석면 등과 같은 물질도 인체에 심각한 위해를 가져오는 물질로 분류되고 있다.

○ 반도체와 제약 산업 등과 같이 실내기준을 엄격하게 유지해야 하는 곳에서는 막대한 시설비와 유지관리비가 필요한 클린룸을 유지하고 있지만, 일반적인 상업시설에서는 일반적으로 부직포로 제작된 에어필터 유닛을 비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 최근에는 화학물질 또는 생물 에어로졸을 제거하기 위해 자외선, 오존 및 광촉매를 적용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만,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작비와 유지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 본고에서는 실내, 실외 입자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실내?실외 입자농도비, 침투계수 및 투과계수를 제시하고 있으며, 빌딩의 크랙을 통해 입자가 유입하는 경우에는 침투계수가 가장 영향력이 높은 인자라고 한다.

○ 본고에서는 이러한 인자 외에 온도차와 인간을 들고 있지만, 빌딩의 용도는 다양하기 때문에 오염입자를 포함해서 다양한 소스의 오염물질 배출원이 실내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빌딩의 실내 환경을 설계할 경우에는 실내외의 다양한 오염물질 발생원을 우선해서 검토해야 한다
저자
Chun Chen, Bin Zha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45
잡지명
Atmospheric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75~288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