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머티스 관절염으로 관절 파괴를 중재하는 인터루킨-17의 역할
- 전문가 제언
-
○ RA는 만성적이고 지속적인 염증형 관절 질환으로, RA에 있어서 관절 파괴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결여되어 있는 형편이다. 관절 파괴에 관한 분자 기작은 완전히 이해를 다 못하고 단지, 사이토카인에 중재된 면역 작용이 RA를 포함한 여러 자가면역의 병리로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근래에 Th 17 세포에서 생산되는 IL-17이 염증 성향의 성질이 있고 MMPs를 유도하고 파골세포를 통하여 뼈와 관절에 손상을 가져온다.
○ 생쥐에서 무릅 관절 속에다 IL-17을 주사하면 관절 염증과 관절 손상을 유발할 수가 있다. IL-17은 MMPs의 발현을 증가하고 산화 질소와 프로스타그란딘의 생산을 촉진한다. 흥미롭게도, IL-17A는 TNF-α와 같은 사이토카인과 함께 처리하면 RA 관절을 더 많이 파괴 시킨다. 이와 같은 현상으로 RA에 있어선 연골 파괴를 유도한다. 연골에 있어서 ECM의 합성과 파괴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ECM은 관절에서 장력을 강하게 하고 부하력을 증가시킨다. 더욱더, ECM은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IL-17도 자가면역으로 연골 파괴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 자가면역과 관련하여 ECM과 IL-17의 관계를 더욱 명확히 연구하고 특히 RA에 있어서 여러 현상을 규명하는 것이 요구 된다.
○ 세포와 생쥐 실험에서 IL-17의 신호를 차단하거나, 항-IL-17 항체를 이용하여 관절염에서 연골의 파괴를 막고, 뼈의 부식을 막을 수가 있고 이런 기작은 MMPs의 발현이나 분비를 억제하는데 RANKL의 발현과 PI3K 신호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다. 이런 연구를 인간에 적용하는 데는 RA에서 IL
- 저자
- Li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397
- 잡지명
-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31~135
- 분석자
- 정*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