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RAF 단백질-세린/드레오닌 키이나제: 구조와 규제

전문가 제언
○ A-RAF, B-RAF와 C-RAF는 세 개의 단백질-serine/threonine 키이나제로서 RAS-RAF-MEK-ERK의 신호 전달에 참여한다. 이런 신호 전달은 예정사, 세포 주기, 세포 분화, 세포 증식과 세포의 암 전환 등에 관여한다. 모든 인간의 암에서 RAS 돌연변이가 15-30% 일어나고, B-RAF의 돌연변이는 흑색종에서 30-60%, 갑상선 암에서 30-50%그리고 대장암에서 5-20%가 생긴다.
○ RAF 키이나제의 활성은 RAS-GTP와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고, 이 때 SRC 계 단백질-타이로신 키이나제와 다른 단백질-세린/드레오닌 키이나제에 의하여 인산화와 탈인산화가 일어난다. 옆-옆으로 RAF 쌍이 형성되어 키이나제의 활성도가 충분히 이루어진다. RAF 키이나제의 억제제는 발암유전자인 B-RAF Val600Glu를 함유한 세포에서 MEK1/2와 ERK1/2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차단 한다. 이 RAF 카이나제 억제제는 돌연 변이가 없는 보통 세포와 돌연변이 RAS에 활성화된 세포에서는 역설적으로 RAF 카이나제를 활성화 한다. 여기에서는 C-RAF가 MEK-ERK를 활성화 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 유방암에서 HER 발암유전자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HER의 억제제인 라파티니브를 사용하면 RAF-억제제에 의하여 유도된 ERK신호를 차단함으로 RAF억제제와 HER 억제제를 함께 사용하면 ERK 신호를 차단할 수가 있다. 앞으로 두가지 억제제를 사용하여 RAF-ERK 신호를 차단하는 더 많은 연구와 동시에 동물 실험이 요구된다.

○ 생체내에서 A-RAF, B-RAF와 C-RAF 키이나제의 인산화 유치와 상호작용 그리고 규제 등이 어느 정도 알려진 편이다. 아직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고 특히 이런 상호작용을 임상에 적용하는 데는 여러 단계 신호 전달 기작과 각 단계마다 억제제를 사용하였을 때 어떤 반응이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포와 동물 실험을 비교 검토하는 것도 임상에 적용하는데 바람직하다.

저자
Roskoski J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399
잡지명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13~317
분석자
정*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