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C-1/BAY41-2272와 결합하는 용해 구아닌 시크라제: 활성 기작의 새로운 전망
- 전문가 제언
-
○ sGC는 이성이량체 gpa 단백질로서 GTP를 사이크릭 GMP로 촉매 작용을 하는데 세포 신호에서 두번째 메신저 역할을 한다. NO는 이 효소를 수 백 배 증가시키고 CO는 YC-1과 BAY와 같은 물질과 함께 상승적으로 역시 증기시킨다. 이런 상승 효과에 대한 기작은 논란이 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지금까지 문헌을 기초로 하여 소의 폐에 있는 sGC에 YC-1과 BAY가 가능한 결합 부위를 찾고 그 기작을 알아 본다.
○ 헴 옥시게나제에 의한gpa의 감성으로 생긴 CO는 신호 물질로서 확인 되었다. 어떻던 생리적 CO의 량은 sCG르 활성화 하는데 충분하지 않으나, YC-1 또는 BAY가 CO와 함께 상승작용으로 sGC를 활성화 할 수가 있다. 실험관에서, 이 물질은 CO가 있는 상태에서 sGC의 4차 구조를 재조정하여 활성화로 유도한다. CO 결합한 sGC에 YC-1/BAY가 결합하여 상승적용을 일으키는 활성의 기작을 설명할 수가 있다.
○ 반대로, 활성과 불활성의 삼차구조가 없는 상태에서 정확한 활성 기작을 설명하는 것은 가능하지가 않을 것이다. 힘 영역이 전체적인 구조의 변화에 표시로서 작용하는 것도 잘 알려지지 않았다. 비슷한 모델 단백질인 H-NOX 영역(미생물 단백질)으로 설명하는 것은 결정적이라고 말할 수가 없으며 또한 알로스테릭 성질(allostricity)도 관련이 적을 수도 있다. 예로서 미오그로빈과 Hb의 경우는 활성도가 산소의 농도에 따라 상당히 다르다.
○ 여기서 제안된 기작은 YC-1/BAY가 α 소단위에 결합하고 소단위의 접촉면 상호작용을 변형하여 촉매 부위를 활성 구조로 유도한다. 이 구조의 변화로 YC-1/BAY와 GTP가 있는 상태에서 sGC에 있는 Fe-His 결합이 절단된다. 어떻던 sGC의 삼차 구조가 아직 명확히 밝 혀지지 않아, 활성 기작을 설명하는 하는 데는 유사 단백질과 비교하 여 설명한 것으로 명확한 기작이라고는 볼 수가 없다. 그래서 sGC의 결정된 삼차 구조를 밝히는 것이 시급하다.
- 저자
- Pal and Kitagaw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397
- 잡지명
-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75~379
- 분석자
- 정*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