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광의 현황과 미래
- 전문가 제언
-
○ 일본의 방사광은 독자적인 기술혁신으로 강한 X선으로부터 고휘도 나노 빔까지 첨단광원의 실현을 세계에 앞서서 수행하였다. 이 첨단광원은 물리, 화학, 공학, 물질과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나노테크놀로지 등 여러 과학기술분야의 첨단연구개발 장치로서 활용되어 과학기술의 발전에 공헌하고 있다.
○ 방사광은 빠른 속도의 전자가 커브를 돌 때 발생하는 강한 빛이다. 기존의 X선광보다 수백만~수억배 이상 밝다. 이러한 방사광은 1조분의 1g 이하의 극미량 원소도 분석이 가능할 정도로 초정밀 현미경 역할을 할 수 있고 또 초고속 집적회로와 정밀 미세 구조물을 만들 수 있는 초정밀 메스의 기능도 한다.
○ 핵물리학 등의 실험용 싱크로트론이면서 방사광 광원으로 겸용되고 있는 “제1세대 방사광가속기”, 방사광의 질과 수명을 향상시켜 방사광 생산전용 가속기로 만든 “제2세대 방사광가속기”,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방사광의 질을 변경하거나 가공할 수 있게 설계·건설된 방사광 생산 전용 가속기인 “제3세대 방사광가속기”의 3가지로 분류된다.
○ 우리나라에서는 제3세대 방사광가속기인 포항방사광가속기가 1991년 4월 1일 준공되었다. 1995년까지 계속된 시운전 때까지 소요된 총 비용은 1,500억원이고, 1995년 9월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하였다. 1999년에는 저장 전자에너지 2.5GeV, 저장 전자전류 150mA 이다. 2002년 말까지 각종 실험을 위한 19기의 빔 라인이 설치되었고, 최종적으로 40기의 빔 라인이 가동될 예정이다.
- 저자
- Takata, M.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52(9)
- 잡지명
- 日本原子力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530~535
- 분석자
- 문*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