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럽에서 지역혁신의 결정요인들: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결합한 지식창출 기능 접근방식

전문가 제언
○ 이 논문은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결합한 지식창출 기능 접근방식을 통하여 유럽에서의 지역혁신 결정요인들을 검토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근래에 들어 지역균형발전정책의 하나로 지역혁신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지역혁신체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지역혁신체제에 대한 개념 파악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혁신역량에 관한 논의 및 연구는 대부분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져 왔고, 지역 차원에서의 혁신역량 분석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 지역혁신체제는 본래 국가혁신체제의 하위개념이다. 국가혁신체제는 급속한 세계경제의 변화에 대한 국가차원의 대응체제 구축의 필요성 때문에 제안된 것이다. 이러한 영향은 지역단위에서 제도적으로 확립된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논의로 이어졌다. 각 지역이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가지고, 지역이 가진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지역 나름의 혁신체제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 지역혁신체제는 지방정부, 지방대학, 기업체, 연구소 등의 지역 내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생산과정 및 새로운 지식의 창출, 확산, 및 활용과정에 공동으로 참여함으로써 지역발전을 주도해 내는 시스템이다. 지역 혁신체제는 지역 내 경제주체간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해 줌으로써 지역의 자생력을 키우는데 있어서 다른 어떠한 시스템보다도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국가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해 추진되는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이 담고 있는 핵심 내용은 지역 혁신체계를 구축하고, 지방대학을 육성하고 지역의 인적자원을 개발하며, 지역의 전략산업을 육성함으로써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낙후지역의 개발을 촉진시킨다는 것으로, 그 방향정립이 훌륭하게 되어있다고 본다. 다만, 이 목표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들이 나오기 위해서는 앞으로 이에 관한 이론적 및 실증적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
Mikel Buesa, Joost Heijs, Thomas Baumer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0
권(호)
39
잡지명
Research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722~735
분석자
김*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