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동양 및 서양국가에 있어서 운영문제의 세계화: 국민 및 조직 문화와 제조업 성과에 그것이 미치는 영향 간의 분석

전문가 제언
○ 국민(국가)과 조직문화를 이해한다는 것은 점증하는 초국가적 제조업 시대에 그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세계는 평준화되고 국경은 무너지고 있으며, 제조업자들은 경쟁에서 이점을 취하기 위해 적절한 문화적 역할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제조업 성과에 관한 8 가지 국민 및 조직문화 차원의 영향에 대해 다 수준 조사를 실시했다.

○ 동양국가(일본과 한국) 그리고 서양국가(독일, 미국, 핀란드, 스웨덴)에서 189 공장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자료 수집을 위해 우편물 조사를 사용했으며, 조사 응답률은 65%이었다. 설문서에는 13개 질문 문항에 있고 설문 응답자는 현장 관리자에서 현장 작업자까지를 망라했다. 각 나라 당 30개 공장을 선정하여 모두 189개 공장에서 조사를 실시했다. 공장 규모는 관리자가 충분히 있는 250명 이상의 종업원을 둔 회사로 제한했다.

○ 자료수집의 결과를 국민문화와 조직문화 차원에 대해 ANOVA 비교를 실시했다. 조직문화에서 권력격차(power distance), 미래지향(future orientation) 및 성과지향(performance orientation)을 동서양 국가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계층적선형모델(Hierarchical Linear Model) 분석은 조직문화가 국민문화 보다 제조업 성과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추가적으로 경제와 기반을 모두 포함하는 국가개발지수는 제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얻은 결론은 제조업 성과에 국가적 수준 요인은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구촌 시대에 이들 결론은 국경선을 초월하여 조직을 확장하여 높은 제조업 성과를 지속적으로 올리기 위해 내부 조직문화를 개발함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저자
Michael Naor, Kevin Linderman, Roger Schroed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0
권(호)
28(3)
잡지명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94~205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