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실 계획과 일정: 문헌 고찰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는 최근 수술실 계획과 스케줄링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여 요약해 주고 있다. 여기서 문제 설정 또는 기술 특성과 관련이 있는 다수 분야의 문헌을 평가하고 있다. 논문을 여러 분야로 분류하여 묶기도 하고 여러 방법으로 평가함으로 해서 다양하고도 세밀하게 개관을 제공하여 논문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병원 수술실 계획 또는 스케줄링에 관한 최근 논문을 새로운 관점, 즉, 환자 특성, 성능(성과) 측정, 결심 윤곽, 연구방법론, 불확실성, 그리고 연구의 적용 가능성 등 여섯 분야로 나누어 모우고 그리고 각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경향을 강조하여 여섯 개 분야 별로 분석하고 평가하고 있다. 환자 특성을 수술실 계획 또는 스케줄링으로 볼 때, 선택적(대기) 환자와 비선택적(비대기) 환자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수술을 미리 계획을 한 환자를 말하며, 후자는 예상하지 않은 수술 환자로 응급이 요구되는 환자를 말한다.
○ 선택적(대기) 환자에 대한 계획과 스케줄링에 관한 문헌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제한적인 연구만이 비선택 환자 스케줄링을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록 환자 도착이 지극히 불확실할지라도 발생 결함을 완화할 수 있는 접근방법이 가까운 장래에 반드시 개발되어야 한다. 도착 불확실을 처리한 다음에 연구가들은 그들의 노력을 확률적 활동기간과 특히 환자 집단에 초점을 맞추어 수술실 관행에 미치는 영향으로 돌려야 한다.
○ 불확실성 연구 다음으로 수술실의 옛날 시설과 새로운 시설 및 자원을 더 바람직하게 통합하는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그러한 통합을 고려하는 문제는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다. 연구의 실행을 가정하드라도 연구자는 실행절차를 세부적으로 제공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실제 실행과 일치하는 행태요소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장래 관리자를 위한 계획과 스케줄링에 대한 응용교육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Brecht Cardoen, Erik Demeulemeester, Jeroen Belie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0
- 권(호)
- 201(3)
- 잡지명
-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921~932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