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섬유상 물질의 표면에 대한 금속 혹은 금속산화물의 증착기술

전문가 제언
○ 본 발명은 섬유상 물질의 표면에 금속 혹은 금속산화물의 증착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기방사법(electro-spinning)과 전기분무법(electro- spraying)에 의한 나노파이버의 증착기술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촉매 산화금속 입자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기타 미생물을 억제시키거나 소멸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어 향후 활용가능성이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

○ 다기능 고성능의 미세한 나노파이버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정착하기 위해서는 전기방사법과 전기분무법에 대한 최적의 조건과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여야 한다. 특히 전기방사 기술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방사용액의 농도, 방사온도, 습도, 전압, 방사속도, 방사거리 등과 같은 방사조건의 최적화 설정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품질에 미치는 나노파이버의 크기 및 균일성의 파악도 대단히 중요하다.

○ 전기방사 시에 염(salt)과 계면활성제(surfactant)는 극소량 첨가에도 용액의 전도도를 증가시키고 폴리머의 표면인장을 감소시켜 파이버크기를 미세하게 할 수 있고 품질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전기방사법에 대한 제조기술을 국내에서 조기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염화리튬, 질산나트륨, 염화칼슘 등과 같은 염과 TBAC, CsDS, SDS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의 연구개발이 시급히 요구된다.

○ 최근 전기방사법으로 표면에 나노파이버를 형성시킴으로써 전자패키징, 센서, 액추에이터, 연료전지, 탄소나노전극, 고성능 필터소재, 항균/유해 화학물질 보호제, 강화 복합재료 등의 용도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그 수요가 더욱 확대될 전망에 있다. 국내 관련 산업체에서 이러한 분야에 대한 신제품 개발에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과 같은 내용의 정보수집과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
DREXEL UNIVERSITY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WO20100028017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9
분석자
유*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