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커패시터의 물질과 디바이스
- 전문가 제언
-
○ 최근 새롭게 주목받는 LiB, 플로우(flow)전지 및 NaS 전지 등과 같은 ESS(Energy Storage System)와 더불어 슈퍼 커패시터도 전극과 전해액의 계면에 축전되는 전하에 의해 전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풍력발전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에서 요구되는 출력보조(power assist)와 전동차 등의 회생전력(power recovery)을 중심으로 슈퍼 커패시터의 용도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 슈퍼 커패시터는 급속한 충/방전 특성 및 고출력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차세대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로서 그 가능성을 크게 갖고 있다. 특히 슈퍼 커패시터는 전기차의 출력보조, 첨단 산업공정의 단시간용 UPS, 전동차의 회생전력과 같은 용도의 확대와 함께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에너지 절감 및 CO2 절감 등에서 기여도가 큰 에너지 디바이스로 주목받게 되었다.
○ 본 발명은 비수계(nonaqueous) 전해액을 적용하여 커패시터의 전압 향상과 에너지 저장 능력을 향상할 수 있으며 탄소에 비해 우수한 용량을 구현할 수 있는 전이금속 산화물의 전극제조에 관한 내용이다. 용량을 극대화 하기위해 전도성 탄소의 분말, 금속 산화물 분말을 바인더로 혼합한 복합체의 겔 반응에 의한 전극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 전이금속이 사용되는 유도 감응(faradic) 커패시터는 탄소전극을 사용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비해 용량 특성은 우수하나 일반적으로 적용된 루테늄 금속의 고가격으로 인해 꾸준히 대체 금속물질이 검토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Fe 및 Mn 등을 적용하여 귀금속 적용에 대한 제한성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도 함께 보여주고 있다.
○ 국내의 슈퍼 커패시터 개발 및 제품화는 LS 엠트론 및 LS 전선 등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iRAP사의 향후 시장은 2014년 7억2천5백만 달러로 확대되는 것으로 예측되어 슈퍼 커패시터의 세계시장 전망은 매우 밝은 편이다.
- 저자
- BATTELLE MEMORIAL INSTITUTE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120560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75
- 분석자
- 나*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