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의 형상의 LCD(액정 디스플레이)
- 전문가 제언
-
○ 1888년 오스트리아의 생물학자 F. Reinitzer가 액정을 발견한 이래 1968년 미국 RCA Co.,에 의해 액정이 처음으로 디스플레이에 응용되었고 1973년에 전자계산기, 전자시계 등에 적용되었으며 1986년 이후 소형 TFT-LCD가 실용화 되면서 평판 디스플레이의 효시가 되었다. 그러나 액정 표시장치의 화소 배치가 종횡의 매트릭스 상의 구조로 되어있어 사각형이 되었으며 이러한 형상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왔다.
○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사회의 다변화 양상에 따라 각종 표시장치도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진화되면서 액정 디스플레이도 기존의 사각형에서 탈피하여 여러 모양으로의 발전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다양한 모양으로의 변화를 전제로 한 시제품을 제작하고 그 응용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LCD는 오늘날 PDP(Plasma Display Pannel), LED 등과 함께 평판 디스플레이(FPD) 시장을 주도하는 기종이다. LCD는 낮은 소모전력, 저 전압동작, 가볍고 얇음 등으로 인해 고해상도의 풀컬러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용이하지만 반응시간, 시야각의 좁음 등의 문제도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한 광 시야각 디스플레이와 응답시간에서는 고속 교차 주사가 요구되는 3D 디스플레이까지 출시되는 시점에 와있다.
○ LCD 디스플레이는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오스트리아의 모차르트 기념관과 네델란드의 고흐 박물관에도 우리나라 제품 LCD가 설치되어있다. LCD의 시장 점유율도 삼성전자가 세계 1위이다. 최근 스마트 폰 시장에서 애플의 아이폰과 삼성의 갤럭시와의 경쟁에서 보듯 무한경쟁 시대에서는 기술력의 우위도 중요하지만 마케팅전략 또한 중요한 성공요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TV를 비롯하여 각종 모니터와 표시장치 등 오늘날 디스플레이 산업은 눈부신 발전을 이루고 있다. 웨어러블 컴퓨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더불어 아몰레드의 대형화 등으로 영상문화가 더욱 풍요로워지기를 기대한다.
- 저자
- Kenichi Takatori, Yoshihiro Nonak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64(10)
- 잡지명
-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437~1441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