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도에 있는 NKT 세포의 조절 역할

전문가 제언
○ 천식은 폐 기관지의 근육이 위축되고 점막이 부풀어서 생긴다. 알레르기반응, 세균침입, 또는 자율신경의 오작동으로 인해 생긴다. 이 염증성 질환은 알레르기항원-특이성 IgE와 알레르기항원-특이성 Th2 세포에 의해 조절된다. 알레르기항원-특이성 Treg(regulatory T) 세포는 천식에서 Th2 기능과 염증반응을 억제한다. 최근의 연구들은 선천성 면역계의 구성원인 NKT(natural killer T) 세포들이 천식발생을 조절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천식은 알레르기항원-특이성 Th2와 호산구에 의해 매개되고 알레르기항원-특이성 T 세포에 의해 제어된다. 이 패러다임은 천식의 특징들을 설명하지만, 천식환자에서 Th2를 표적한 치료법은 기대한 만큼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다른 세포형태가 천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고 실제로 NKT 세포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천식의 중요한 특징의 하나는 기도 과민상태(AHR)이다. 천식의 마우스 모델에서 알레르기항원에 의한 AHR의 발생은 NKT 세포와 알레르기항원-특이성 Th2 세포 둘 다를 필요로 한다. 영장류에서, NKT 세포를 매우 특이하게 활성화하는 α-GalCer(당지방질) 미량에 의해 NKT 세포를 활성화하면 AHR를 발생시킨다. 이것은 허파에 있는 낮은 수의 NKT 세포도 사람의 천식에서 대단히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 또한 NKT 세포는 환경 신호에 반응하여 기능한다. Sendai 바이러스에 노출된 마우스는 만성 기도 염증과 AHR를 일으킨다. 또한 몇 가지 연구들에서 NKT 세포의 상이한 하부집단이 천식 특히 바이러스에 의한 천식을 Th2 적응성 면역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일어날 수 있게 한다는 것도 보여준다. 또한 NKT 세포는 박테리아,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대기오염과 같은 다른 환경 성분에도 반응하여 마우스 모델에서 AHR를 발생시킨다.

○ 마우스 모델과 원숭이 실험에서 AHR 발생에 NKT 세포가 필요했으나 사람의 천식연구에서는 서로 다르게 나타나므로 논쟁의 여지가 남아있다. 사람의 천식의 경우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저자
Dale T. Umets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42
잡지명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29~534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