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사인자 Stat5a/b : 전립선암 치료용 표적 단백질

전문가 제언
○ 전립선암은 진행정도에 따라 치명적 질환이 될 수 있다. 구미 백인 사회에서 전립선암은 남성에서 암 발병률 1위에 달한다. 미국 통계에 의하면 백인 전립선암 발병률은 40세 이하에서는 드물고 50세 이후 나이가 들면 증가하여 65세 이상에서 10만 명당 819명이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0년간 전립선암 발병률이 20배 증가하였으며 앞으로 더 늘어날 추세이다. 이것은 식생활의 서구화에 의해 지방이 많은 육류 섭취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 전립선암 중에서 한 기관에 국한된 암은 수술, 방사선, 호르몬 치료, 그리고 이들을 혼합한 치료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그런데 전립선암의 상당 부분에 대해서 현존하는 치료법은 단지 증상이나 암 성장을 일시적으로 경감시킬 뿐이고 그리고 일부는 제거-저항성 그리고 전이성 전립선암으로 발전한다. 현재, 이들 제거-저항성 그리고 전이성 전립선암에 대한 효과적인 약물 치료법은 없다.

○ 그런데 전사인자인 Stat5a/b는 실험동물과 사람의 전립선 암세포의 생존과 성장에 필수적이다. Stat5a/b 신호전달 경로가 기관-국한된 전립선암이 제거-저항성 내지 전이성 전립선암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이 경로가 전립선암의 약물치료의 개발을 위하여 표적분자가 되고 또한 Stat5a/b가 전립선암의 진단을 위한 지표가 될 수 있다.

○ Stat5a/b는 전립선암 성장에서 중요한 분자이기 때문에 이 분자의 기능 억제가 전립선암의 치료에 하나의 중요한 관건이 된다. 전립선 암세포에서 Stat5a/b의 활성과 기능은 다양한 단계에서 파괴될 수 있다. 예컨대, PrlR 활성은 특정한 PrlR 길항제에 의해 억제시킬 수 있고 그리고 Jak2는 Stat5a/b를 활성화시키는 단백질 키나아제이고 현재 Jak2의 억제물질을 개발 중인데 이런 약품은 전립선암의 유효한 약물 치료약으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전립선암에 관한 메커니즘이 밝혀지므로 써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이 가능해진다. 멀지않은 장래에 효과적인 전립선암의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Zhiyong Lia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42
잡지명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86~192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