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프라 협조형 안전운전 지원시스템의 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 전 세계적으로 첨단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의 개발이 경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로를 무한정 늘릴 수 없는 상황에서 기존 도로를 최대한 정체 없이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하자는 목적이다. 특히 일본은 ITS 분야의 선두주자로 1980년대 후반부터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서고 있으며, 대표적인 개발된 시스템이 차량 정보통신 시스템(VICS, Vehic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이다.

○ 일본 정부는 정보, 통신, 컴퓨터, 제어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수집, 관리, 제공하는 최첨단 교통관리 시스템인 ITS를 2010년부터 사고다발지역을 중심으로 도입하고 있다. 차량별 정보를 수집한 뒤 전방의 차량 진행과 도로 합류 여부 등을 알려줘 사고를 방지하는 안전운전 지원시스템(DSSS, Driving Safety Support System)도 시행 중이며, 앞차의 움직임에 맞춰 뒤차가 적정거리를 유지하면서 달리는 자동대열 주행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 미국은 텍사스 주를 관통하는 Trans-Texas Corridor 프로젝트를 통해 승용차 전용 3개 차로, 트럭 전용 2개 차로와 6개의 철도노선이 집약된 대표적인 종합 하이웨이를 추진하고 있다. 러시아는 모스코바~상트페테르부르크 650km 구간에 5년 간 65억 달러를 투자하여 시속 150km로 주행이 가능한 고속도로에 논스톱 교통제어 시스템이 연결된 지능형 교통관리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 우리나라는 고속도로와 주요 국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도로 상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스마트 하이웨이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안전운전의 지원을 위하여 앞으로는 회전 시 충돌을 방지해주는 지원시스템, 도로교통 및 자동차 주변상황을 알려주는 종합 정보 지원시스템, 고속도로의 카메라와 차량 탑재 형 GPS의 연결로 정상 주행 여부를 판별하는 시스템의 개발도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저자
Toshimichi Hanai, Junji Tatemats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0
권(호)
64(9)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4~19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