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의 관점으로 본 의약품 개발의 전망: 바이오의약 · 항체기술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의약품의 중요성이 점차적으로 부각되면서 세계의 유수한 다국적 제약기업들이 중심이 되어 약물전달 체계 개발에 대한 연구가 각국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약물전달 시스템은 고분자를 이용한 지속제형과 유전기술을 융합시킨 약물전달 체계로 분류된다.
○ 국제의약품 통계에 따르면 2008년도에 의약산업 총계는 약 7,700억 달러 정도이며 이중 바이오의약 비용은 약 1,050억 달러로 전체의 약 13.5%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2008년 기준 규모의 바이오의약시장은 연평균 약 17%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므로 앞으로 10년 내에는 적어도 1,400-1,5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판단된다.
○ 2014년쯤 되면 일반약품의 총 매출은 약 4,100억(70.6%) 달러 정도가 될 것이고 바이오의약은 1,700억(29.3%) 달러로 전망되어 전체 매출에서 바이오의약이 차지하는 비율은 급성장하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 융합기술을 이용한 약물은 일부 제품이 시판되고 있으나 본격적인 제품화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한국의 실정은 바이오 및 일반 신약개발 수준이 선진국에 비하여 미약한 반면 유전공학 기술 및 나노기술 등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고 있는 실정이므로 항체의약 및 바이오약품에 대한 개발을 통하여 세계 유수제약기업과 경쟁적으로 연구해 나간다면 미래 전망은 매우 밝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바이오의약 제조에 큰 비중을 두어 연구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저자
- Masayuki Matsushit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39(5)
- 잡지명
- ファインケミカル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4~20
- 분석자
- 정*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