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무선사업자 관점에서 와이파이 2.0의 이해

전문가 제언
○ 사람과 사람뿐 아니라 사물과 사물 간 통신이 가능해 지는 사물통신시대가 되면 주파수 부족현상이 심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한정된 주파수를 가급적 많은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무선인지 (Cognitive Radio) 같은 주파수 공유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무선인지기술은 시·공간적으로 놀고 있는 주파수를 실시간으로 탐색하고 지능적으로 판단해 적절한 주파수, 변조방식, 출력 등을 선택해 통신하는 방식이다.

○ 미국 연방통신위원회는 2008년 TV 대역의 여백공간으로 비면허 사용자의 접속을 허용하는 새로운 법안을 발표하는 등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디지털 TV대역 중 시간적, 공간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인지기술 활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EEE 802.22, WRAN (Wireless Regional Area Network), 는 농촌지역에서 고정형 기기의 가입자 망 접속을 위해 최초의 국제 다이내믹 스펙트럼 접속 표준을 설정하였다. 더불어 국제전기통신연합(ITU)도 무선인지관련 연구를 2012년 세계전파통신회의(WRC)의 의제 중 하나로 선정하였다.

○ 주파수 공유기술의 확산을 위해 사적공유제도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사적공유제도란 주파수의 배타적 이용권을 획득한 면허권자가 대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비면허 기반으로 제3자에게 임대해 주는 것을 말한다. 이 제도는 기존의 비면허 공유대역의 서비스보다 고품질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고, 공통의 이해관계를 갖는 주파수 이용자그룹이 자신들만의 대역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배타적 이용권자의 수익구조를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공유기술의 초기 정착 및 확산을 위한 중요 제도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하지만 무선인지기술을 적용하려면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하나의 서비스를 정해 이용자에게 주파수 이용권을 부여하는 현재의 전파정책을 바꿔야 한다. 따라서 주파수 이용권의 재정립, 전파관리 체계의 개선 등 전파정책의 적절한 보완이 필요하다. 더불어 국내 실정에 맞는 주파수 후보 대역을 선정해 간섭 분석 등 기술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적용 서비스 분야를 발굴하여야 한다.

저자
H. KIM AND K. G. SHI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17(4)
잡지명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Magaz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41~46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