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의 운전능력 평가와 고령 운전자의 지원
- 전문가 제언
-
○ 이 자료는 고령자 등의 운전능력저하 문제를 검토하는 연구에 대해 분석하고, 운전자의 운전능력 요건과 평가 및 고령운전자 지원의 대책을 소개하였다.
○ 운전사고나 위반은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그 비율이 증가하지만 안전운전에 불가결한 인지나 판단(예측)의 능력으로 시력, 시야, 주변인식 등의 시각-공간적 능력과 다양한 주의기능(주의의 배분, 주의의 선택 또는 집중, 주의의 지속 등)에 특히 관련이 깊다. 고령운전자의 사고에서는 ‘보려고 했지만 안 보였다’고 하는 실책 뿐 아니라 ‘실책/걱정거리’나 ‘믿음’에 의한 실책이 많은 일도 특징이다.
○ 고령운전자의 운전능력 저하의 주요인으로 “유효시야”에 주목하고 주로 “유효시야”와 운전사고의 관계, 나이가 많아짐에 의한 저하 및 측정방법을 조사했고, 다양한 문헌에 기초를 두어 유효시야의 특성이 운전자의 운전행동에 어떻게 영향하는가를 분석함으로써 고령운전자의 사고대응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운전능력이 저하한 경우의 지원방책으로 일상 또는 운전전의 뇌기능의 훈련방법을 검토해 운전개시후의 주의?판단기능의 향상효과를 확인했다. 우선에 운전 시 주의?판단 등 인지기능의 저하 평가에서는 고령자의 사고가 많은 교차점 통과나 차선변경의 상황을 포함한 모의운전으로 안전 확인의 행동이나 운전수행을 측정한다. 또한 운전전의 뇌기능 훈련과 운전개시후의 주의기능 향상효과의 검토에서는 운전전의 단시간 훈련이 운전 시 주의?판단력에 주는 효과를 검토한다.
○ 최종적으로는 최적인 훈련방법을 개발해 운전직전 뇌의 활성화 및 운전시의 주의?판단력 향상에 유효한 차 적재 시스템으로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고령운전자의 편리성을 위하여 운전이 필요하지만 사고예방을 위해 개인별 운전능력 측정이나 주기적인 적정한 훈련과 운전 연령제한(권장사항으로)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Tomoaki Nakano, Muneo Yamada, Shin Yamamoto, Motoki Shin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64(10)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72~77
- 분석자
- 남*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