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랑어(Tuna, 속명; 참치, 다랭이, 새치)는 농어목 고등어과이며, 지느러미의 색깔 외형에 따라 참다랑어(Blue fin tuna), 눈다랑어(Big eye tuna), 황다랑어(Yellow fin tuna), 날개다랑어(Albacore), 가다랭이 등 10 여종이 있다. 특징은 오대양의 원양 회유성 난류성 대형 어류이다.
○ 원산지는 적도 부근 해역이며, 주 서식지는 남, 북위 40° 선 이내의 태평양과 대서양 및 인도양 등 전 수역을 남북으로 회유하면서 생활하는데 특히 남, 북위 20° 수역에 많이 분포한다. 우리나라 동해나 남해에서 나타나는 다랑어는 구로시오 난류의 북상과 함께 초여름에 북쪽으로 올라오며 가을이 되면 남쪽으로 내려가는 것이다.
○ 다랑어는 방추형으로 꼬리지느러미가 잘록하고 강하여 물을 헤치는 힘이 세고 추진력이 뛰어나 시속 40노트 이상 속도로 유영한다. 서식에 적합한 수온은 북양에서는 14-18℃, 남양에서는 25-27℃로서 적온을 찾아 연중 10,000마일 이상 헤엄쳐 다니므로 '물고기의 왕'으로도 불린다.
○ 다랑어는 바다의 먹이사슬의 정점에 있어 플랑크톤이나 동물 플랑크톤에 의해서만 생산되는 DHA나 EPA, 비타민류 등 진귀한 생리기능 물질이 생물 농축에 의하여 함유하고 있는 에너지원이다. 진공과 가압 및 저온의 조합에 의한 하이브리드 추출법에 의하여 숨어있는 미량 기능성 성분의 발견되고 있다.
○ 다랑어의 가식부는 회, 퓌레, 통조림, 냉동식품으로 사용되고, 두부·지느러미·뼈 등 불가식부는 추출되어 DHA, EPA, vitamin A, vitamin D, vitamin E가 함유된 기름은 캡슐, 분말 정제로 사용되고, 추출 분리된 액은 농축, 동결건조, 분무 건조하여 사용되고, 콜라겐이나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을 함유한 뼈는 분말화하여 치아나 인공뼈 등으로 이용된다. 또한 hyaluronic acid, anserine, 타우린, 콘드로이틴, 비타민 B12, 엽산, 나이아신, 엘라스틴 등 기능성 성분이 함유되어 장대한 원양 회유성 스태미나의 비밀이 밝혀지고 있으므로, 특히 불가식부에 많은 이들 성분을 활용한 건강기능성 식품에의 적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