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 단조 부품의 개발동향
- 전문가 제언
-
○ 피 가공품의 재질이나 형상의 복잡도에 따라 가공공정은 다르게 된다. 최근 들어 IT기기나 자동차 등은 매일이 다르게 모델 체인지를 하고 있어 모델 체인지에 따른 부품의 재질이나 형상도 급변하기 때문에 부품의 가공기술도 이에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종래에는 여러 개의 부분품을 조합 또는 용접하여 제조하던 부품을 하나의 부품으로 설계하기 때문에 형상이 복잡해질 뿐 아니라 하나의 부품에 재질이 다른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들을 가공하기 위한 그에 상응되는 가공기술이 뒤 따라야 하기 때문에 새롭게 등장하게 된 것이 판단조 기술이다.
○ 휴대전화의 외형 케이스는 여러 종류의 재질이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경량화와 견고성을 고려하여 마그네슘 합금의 사용이 일반화 되고 있다. 마그네슘 합금은 열간이나 온간상태에서는 신율이 좋아 소성변형이 가능하지만 냉간에서의 소성가공은 취성이 높아 가공이 어려워 부품코스트의 상승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재질개선과 판단조에 의한 가공방법의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또 자동차 엔진이나 변속장치 등에 사용되는 부품 중에는 종래 여러 개의 부품을 조합 용접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많았다. 다수의 부품을 조합 용접하여 하나의 구성부품으로 만들 경우 부품의 기계적 유격이나 용접시의 열응력에 의한 변형을 수반하기 때문에 치수정밀도확보가 어렵고, 제작공정이 늘어나 부품 코스트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최근에는 부품의 코스트삭감, 경량화, 품질보증, 치수정밀도의 확보 등을 위해 부품의 일체화로 설계 되는 경우가 많다.
○ 일체화 된 부품에는 살 두께가 다르고 단차가 있거나, 변속장치에 사용되는 헬리컬 기어, 내측 기어 등과 같이 복잡형상은 단순공정에 의한 제조는 불가능하다. 이들 가공에 종래는 열간 단조 후 절삭가공과 고주파담금질 후 연삭가공 등을 통하여 완성시키던 것을 최근에는 다수의 공정을 거치기는 하지만 판단조공법으로 제조에 성공하였다는 보고가 있어 복잡형상의 가공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본 분석물은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작성되었습니다. ReSEAT 프로그램(http://www.reseat.re.kr)
- 저자
- T. SUZUMU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51(594)
- 잡지명
- 塑性と加工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633~637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