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구동계 부품용 고탄소 강판의 개발 동향
- 전문가 제언
-
○ 기계구조용 탄소강은 일반 강인 연강(탄소함유량 0.2% 미만)보다 강도가 높고 담금질성도 좋을 뿐 아니라 절삭성도 좋지만 연강에 비하여 재료의 가격이 높다.
○ 기계구조용 탄소강(SM25C~SM65C)은 고탄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인장강도가 높고 담금질 효과도 커 담금질하여 슬라이딩 면의 내마멸성이나 고장력을 필요로 하는 볼트 너트에 많이 사용되지만, 탄소함량이 많기 때문에 냉간에서의 소성성은 떨어진다. 그러나 가격 면에서 성능에 비하여 저렴한 편이고 기계가공성이 좋아 다양한 기계기구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최근 자동차구동계 부품에서는 종래 절삭가공이나 성형가공 후 여러 개의 부품을 조합 용접하여 하나의 구성부품으로 하던 것을 일체화하여 공정 수의 삭감과 부품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여기에 적용되고 있는 가공법이 판재를 사용한 판단조가공법이며, 사용되는 판재는 기계구조용 고탄소강이다.
○ 기계구조용 고탄소강으로 자동차구동계 부품을 가공할 경우 재료의 성형성, 즉 연성이 좋아야 하고 가공 후 부품의 정밀도는 물론 기계적 특성, 즉 요구 기능을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계구조용 고탄소강(SM35C이상)에 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온간이나 열간 가공을 하면 재료에 담금질 효과가 생겨 다음 공정의 가공이 어렵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래서 기계구조용 고탄소강을 냉간 상태에서도 성형성(소성성)이 좋은 재료로 개선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하다.
○ 재료개발에 이용되고 있는 기술은 재료의 기성 조직인 펄라이트나 시멘타이트조직(경도가 높은 조직임)을 입계미세 제어를 통하여 연성이 좋은 페라이트 조직화하는 것이다. 이렇게 개발된 재료를 사용하여 판단조공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는 부품으로 자동변속장치(AT)의 링 기어 일체의 드라이브 플레이트, 클러치 허브와 드럼, 풀라네타리 캐리어, 클러치 플레이트와, 무단변속장치의 피스톤 및 토크 컨버터 등이 있다.
- 저자
- N. NAKAMURA, T. FUJIT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51(594)
- 잡지명
- 塑性と加工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628~632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