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식문화
- 전문가 제언
-
○ 미국의 식문화는 1865년 대륙횡단철도가 개통되면서 차내에서의 획일적인 요리를 손에 넣음으로서 여행의 맛이 획일화되기 시작 하였으며 미국의 요리는 동일한 요리가 지역범위를 넓히고 있으며 프랑스를 위시한 미국식을 따르는 나라가 맛의 추구가 목적인 반면 미국의 음식은 맛의 추구만이 아닌 방향 즉 언제 어디에서나 동일한 것을 동일한 정도의 가격으로 먹을 수 있는 것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인식이 깊게 깔려져 있음을 알 수 있다.
○ 미국의 음식 중 햄버거와 비프스테이크가 한 가지 고유의 요소라고 보며 일본은 초밥과 튀김이 있으며 프랑스는 부야베스와 붓후?후르기니욘, 스페인의 파에야, 이탈리아의 피자와 파스타, 영국의 로스트비프, 러시아의 포르시치, 필리핀의 아드포, 한국의 김치, 중국의 오리와 마파두부 등이 대표적인 요리로 알려져 있고 세분화하면 다양한 음식이 상존하며 미국은 다민족에 의한 혼성요리와 획일적인 것이 공존함을 알 수 있다.
○ 우리나라의 식문화는 지역간, 계층간, 계절에 따라 차이가 심하고 조리법이 문서화 되어서 전해오지 않고 구두와 경험에 의한 전수로 인하여 균일화되어 정립이 되지 않은 미비점으로 좀 더 과학화시켜 통일된 방법의 정립이 필요하다고 보며 미래의 글로벌화를 위하여 한국 고유의 식문화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 한식은 다양한 재료와 양념으로 이루어진 자연식에 가까운 음식으로 Wellbeing과 Wellness, LOHAS적인 삶의 질을 추구하는 외식 소비성향에 부합시켜 소비자 건강에 대한 요구와 제품의 물리적 속성을 뛰어넘는 이미지나 건강 지향적 개념 및 음식 이외의 전통적 문화요소를 결합시켜 문화콘텐츠로 융합하면 세계화의 잠재력이 풍부하다고 본다.
○ 한식의 인지도가 높은 김치, 비빔밥, 불고기, 파전, 잡채 등을 외국인에게 일반화시켜 세계의 외식시장에서 독특한 외식문화로 우리의 민족음식을 홍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본다.
- 저자
- Higashi Michi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245
- 잡지명
- 香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61~66
- 분석자
- 신*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