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섬유산업에서의 환경 대응

전문가 제언
○ 친환경 섬유는 제조과정에서 CO2 발생량을 대폭 저감하며 석유자원과 에너지 사용량을 감소시킨다. 최근에는 화석연료 고갈 문제가 대두되면서 이의 대응책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휴비스의 ´Ecoever´는 국내 재활용 원사 최초로 환경부 주관의 환경마크를 획득했으며 폐페트병를 사용함으로써 쓰레기 매립량과 CO2 발생량을 대폭 저감한다. 리사이클 섬유사업 확장에 주력 중인 효성은 2009년 초 친환경 나일론과 폴리에스터 섬유 제품인 ´Regen´이 리사이클 원사 사용으로 연간 3만t 이상의 CO2 삭감 효과가 있다고 주장했다. FnC코오롱은 PET 재생섬유인 ´ECOFREN´을 의류에 사용 중이며 그 외 생분해성 소재 등 다양한 친환경 소재에 접근하고 있다. 웅진케미칼은 국내 최초로 해중합을 이용한 에코웨이로 만든 제품에 친환경 인증을 부여하고 직물 브랜드인 ´ECOWIN´ 및 수처리용 필터사업 강화 등 친환경적 기업 이미지를 확대하고 있다.

○ 국내 섬유업계가 친환경 섬유에 집중하고 있는 반면에 선진국에서는 원사 및 제품의 생산, 개발에 주목하고 있다. 또한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은 후발국 제품과의 차별화를 위해 친환경 녹색성장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친환경 제품 구매를 장려하는 등 친환경 마케팅 전략을 적극 추진 중이다.

○ 한편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기업이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친환경 제품을 생산하도록 유도하는 환경마크 및 환경규제가 최근 개발도상국에 대한 무역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EU는 회원국들의 비교 우위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환경 보건 문제를 회원국 관련 산업의 경쟁력 확보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 따라서 수출 주도형 산업구조인 우리나라는 선진국의 관련 규제 동향을 예의 주시해야 하며 나아가 환경관련 기술을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미래 성장동력으로 인식하여 보다 적극적인 기술개발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저자
YAMASAKI Yoshikaz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45(4)
잡지명
加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28~238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