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 데이터의 공적 이용과 트랜스레셔널 연구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 인포매틱스(bio-informatics)는 1990년대 인간 게놈(Genome) 염기서열이 판독되고 본격적인 포스트 게놈 시대(Post Genome Era)가 열리면서 새롭게 각광받고 있으며, 컴퓨터와 분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생물학적 데이터를 얻고 이를 분석하여 생물학적 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는 응용과학의 한 분야이다. 다시 말해서 바이오 인포매틱스의 목적은 컴퓨터와 소프트웨어로 유전자의 염기서열 데이터를 분석, 활용함으로써 유전자의 기능을 밝혀내는 것이다.
○ 트랜스레셔널 인포매틱스(Translational informatics)는 바이오 인포매틱스의 한 분야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생물학보다도 임상 의학을 지향하고 있으며, 의료 정보를 수중에 넣는 것이 필수불가결하기 때문에 자연언어 처리 등 필요로 하는 기술도 다소 다르다. 트랜스레셔널 인포매틱스는 아직 계명기에 이어 게놈 정보와 의료 정보의 통합에 의한 새로운 개별화 의료의 구축을 지향하여 연구되고 있다.
○ 온토로지(ontology)는 전산학과 정보과학에서 특정한 영역을 표현하는 데이터 모델로서 특정한 영역(Domain)에 속하는 개념과 개념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는 정형 어휘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다시 말해서 온토로지란 사람들이 세상에 대해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 서로 간의 토론을 통하여 합의를 이룬 바를 개념적이고 컴퓨터에서 다룰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한 모델로서 개념의 타입이나 사용상의 제약조건들을 명시적으로 정의한 기술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생명공학 기업과 제약 기업들이 바이오 인포매틱스의 일환으로서 뉴로 인포매틱스(neuro-informatics), 트랜스레셔널 인포매틱스의 역량 확보에 관심과 투자를 기울이고 있다. 그 이유는 이들을 통해 신약개발 과정에서 후보물질의 발굴과 개발에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 저자
- Takako Taka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49(8)
- 잡지명
- 計測と制御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553~557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