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천연유기물 영향인자와 NF 막 부착물 스케일링

전문가 제언
○ 멤브레인 바이오반응기는 산업 및 도시 사용수 처리를 위해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MBR(membrane bioreactor)에서는 바이오반응기의 혼합액 및 무 입자 처리유출수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MF(microporous microfilteration) 멤브레인이나 UF(ultrafiltration) 멤브레인을 사용하게 된다.

○ 우리나라 수돗물 정수 시스템에서는 거의 대부분 활성탄 처리방법을 택하고 있다. 최근에는 MBR(membrane bioreacter) 시스템을 사용하는 곳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멤브레인 시스템에서 엉킴이 발생하고 있는데 일반적인 MBR 시스템에서의 엉킴은 자연계에 있는 생물 폴리머나 아교질 때문에 엉킴이 발생한다.

○ MBR 프로세스에서는 분산된 고형물 혼합액이 반응기에 남아 있고 용해된 고형물 부분은 유출수와 함께 멤브레인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MBR 프로세스에서는 염분 축적이 생기지 않는다. 어떻든 HRMBR(high retention membrane bioreactor) 시스템에서는 대부분이 콜로이드 및 용해 고형물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 고 레벨의 분리가 요구된다.

○ MBR는 고액분리를 위해 막피 여과와 함께 생물적인 분해를 하게 된다. 막피 바이오반응기는 프로세스가 안정되어 있고 병원균을 제거할 수 있어 중수처리를 위한 특수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2005년 Liu 등은 저농도 중수처리를 위해 폴리에틸렌 0.4㎛ 공극 사이즈의 MBR를 사용하여 COD 130~322mg/l 유입액을 평균 18mg/l까지 감소시켰다.

○ 이 글에서는 NF 멤브레인에 대한 무기물 스케일링과 유기물 엉킴의 타입과 영향 인자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NF 멤브레인에 대한 엉킴 타입은 물속에 있는 무기 및 유기질에 의해 차이가 있었다. 앞으로 NF 멤브레인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리 프로세스는 아주 엷은 선택성 있는 스킨 층 필름성분을 개발하거나 그 밖에 방법으로는 하이브릿드 유기-무기 재료와 멤브레인 표면 개량을 하는 것이다.
저자
Ahmed Saleh Al-Amoud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259
잡지명
Desalina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0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