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효소 가수분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

전문가 제언
○ 현재 공업적인 바이오디젤 생산은 강염기 촉매를 이용한 화학적 촉매반응에 의한 제조방법이 양호한 반응속도와 간편성을 이유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원료에 함유된 물이나 유리지방산이 염기 촉매와의 반응에 의해 비누물질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최종제품에 혼입된 촉매를 제거하기 위한 부수적인 정제공정이 필요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생성되는 바이오디젤 중의 비누물질 함유량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도로 정제된 원료를 사용해야 하지만 이와 같은 원료의 사용은 제조원가가 너무 높게 되어 경제성이 없다.

○ 바이오디젤을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원료의 고도한 정제가 필요 없도록 물, 유리지방산, 메탄올 등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지 않는 반응촉매의 개발이 필연적이다. 또한, 유리지방산이 함유된 저급 원료물질의 사용이 가능한, 특히 유리지방산 함유량의 변동에도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정의 개발이 요구된다.

○ 이 발명(WO 2010/005391 A1)은 식물성 기름이나 동물성 지방을 고도의 정제 없이 바이오디젤로 전환할 수 있는 경제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제조방법에서는 원료에 함유된 트리글리세리드를 미리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하여 유리지방산으로 전환한다. 이어서 알코올을 투입하여 유리지방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알킬지방산에스테르(바이오디젤)와 같은 연료나 윤활제 등의 경제적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에스테르화반응에 효소 촉매를 이용함으로써 원료 중에 함유된 물이나 유리지방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이점이 있다.

○ 향후 바이오디젤의 이용확대를 위해서는 기존의 바이오디젤 제조공정 및 제품에 있어서 생산 및 기술적 문제점인 반응속도 및 전환율의 증진을 위한 촉매의 개발과 함께 물에 의한 오염, 부산물인 글리세롤의 분리 및 용도개발 등 근본적인 과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또한, 바이오매스 자원은 식량과 경합되는 식용자원에서 탈피하여 볏짚이나 목재, 해조류 등 재생 가능한 초본 셀룰로오스로 원료자원을 전환하여 자급체제를 갖추는 것이 미래지향적이라 할 수 있다.
저자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WO20100005391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8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