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기 중 CO2로 제조된 메탄올은 싼 비용으로 수소의 장점을 제공하나?

전문가 제언
○ 본문은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CO2 대책으로 재생에너지에서 얻은 전력을 전기 외의 다른 에너지 매질로 전환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전력은 매우 편리하고 안전한 에너지 매질이지만 장거리 송전에는 Ohm의 법칙에 따른 열로 전환이 일어나 손실이 생긴다. 따라서 장거리 송전은 경제적으로 매우 불리하게 된다.

○ 본문은 전기의 대안으로 제시된 수소가 물의 전기분해로 쉽고 싸게 얻을 수 있는 매질이라는 점은 인정한다. 그러나 그 저장과 수송에 따른 높은 비용으로 말미암아 결코 매력적이지 못함을 지적하였다. 여기에 대한 대안으로 저장과 수송에 비용이 저렴하고 최종 사용 시 수소로 쉽게 분해될 수 있는 에너지 매질로 액체 암모니아와 메탄올을 제시하였다. 즉 저장과 수송에서 비용을 절약하고 사용할 때 수소의 장점을 그대로 얻을 수 있는 매질이라는 것이다.

○ 본문에서 메탄올 합성 원료 중 하나인 수소는 재생에너지에서 얻은 전력으로 물을 분해하여 얻는다. 이는 현재 성숙된 기술임으로 비용 외에는 문제가 될 것이 없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또 하나의 원료인 CO2는 대기 중에서 얻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이는 매우 복잡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대기 중의 CO2 제거로 온난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그 비용이 엄청나게 높아진다.

○ CO2 농도가 대기보다 훨씬 높은 발전소 등의 배기가스 중에서 CO2를 얻는 것이 기술적 및 경제적으로 훨씬 더 유리하다. 순수 대기 중 이산화탄소 고정은 비경제적이며 화석연료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때만 고려될 수 있는 방법이다. 더구나 화석연료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때는 공기에서 CO2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것 같지 않다.

○ 아울러 화석연료 사용이 종료된 후에도 인류는 바이오연료 같은 탄소 중립적 연료는 계속 사용할 것이다. 이 때에도 CO2 농축 형태로 그 배기가스가 배출될 것임으로 이것이 CO2 구득원이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Bockris, J.O M.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35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165~5172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