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간 장수에 관한 PON1의 개체군 특이적 효과 여부 : 종합적인 메타분석

전문가 제언
○ Paraoxonase 1(PON1)은 심장혈관질병 위험의 조절 때문에 죽종을 발생하는 저밀도 지방단백질의 산화를 방지해서 인간 장수를 위한 그럴듯한 후보자 유전자로 암시되어 왔다. PON1 192 Q/R 다형성의 역할은 비록 논쟁적인 결과이지만 몇몇 개체군에서 노인 생존과의 연관성에 관하여 분석되었다.

○ 우리는 PON1 다형성 192 Q/R과 장수와의 관계를 더 명백하게 하기 위하여 독일인 2,357명과 프랑스인 1,025명의 새로운 자료와 7개의 발표된 연구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장수한 사람 5,086명과 더 젊은 대조군 4,494명에 관하여 대규모 메타분석을 실행했다.

○ R 대립 유전자이든지 또는 carriership이든지에 대하여 장수와 PON1 192 Q/R사이에서 유의한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아주 큰 표본 크기에 의지되고 서로 다른 분석 방법에 의하여 지원되므로 아주 확실하게 여겨진다.

○ 또한 4개 개체군의 자료를 사용하여 APOE ε4와 PON1 192 Q/R의 잠재적인 상호 작용을 조사했다. 유의한 결과가 독일인 표본에서 찾아냈지만 다른 시험 집단에서는 확인될 수 없었다. 대규모 메타분석은 PON1 192 Q/R 다형성이 장수와 연관된다는 증거는 제시하지 못하지만 이것은 서로 다른 유전과/또한 환경 요인(예를 들면, 식사)의 영향과 상호작용 때문에 개체군 특이적 효과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 따라서 서로 다른 유전과/또한 환경 요인의 영향과 상호작용 때문에 개체군 특이적 효과의 가능성이 보인다. 앞으로의 연구는 대립형질의 변이에 대한 반응에서 PON1 활성의 조절인자로 각종 환경 요인을 체계적으로 조사할 가치가 있다. 가까운 장래에 PON1 192 Q/R 다형성과 장수와의 연관성을 확실하게 개발하여 인간의 장수에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Amke Caliebe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9
잡지명
Ageing Research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38~244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