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물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Nano-Safety Science 연구

전문가 제언
○ 미래 융합기술로서 나노물질이 각광을 받고 있는 가운데 나노물질의 인체 유해성 논란은 나노기술의 산업발전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나노 관련제품을 수입할 때 나노 흡입 독성시험자료를 요구하는 등 나노물질의 사용규제에 나서고 있어서 안전성평가기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 나노 실리카입자는 기존 실리카 입자보다 분산성이 좋고 입자의 형태가 명확해서 바이오, IT 등에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St?ber 합성법 등의 최신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5나노미터 전후까지도 제조가 가능하다. 그러나 아직 나노 실리카에 대해서는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 본고는 나노 실리카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먼저 물성과 경피 흡수성을 생체영향평가, 그리고 세포 내 동태, 염증 발현 메커니즘 등을 밝히고 이를 감소 또는 억제하기 위한 표면처리 방안도 제시하고 있다.

○ 나노 실리카 입자는 표면에 히드록실기가 존재하여 친수성을 갖게 되는데, 다양한 표면처리로 소수성화 시키면 치과 재료용 등으로 활용하는 등 활용도를 높일 수 있어서 표면처리기술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 우리나라는 최근 나노 안전성 평가기술을 산관학 협동으로 개발하였고 이 가운데 나노입자 모니터링과 나노 흡입독성 시험을 위한 나노입자 발생 방법에 대해서 국제표준화기구(ISO)의 나노기술위원회(TC229)에서 국제기술표준으로 승인받는 개가를 올렸다.

○ 특히 최근엔 은나노입자에 대한 인체 독성유발 원인을 밝혀내어 나노입자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는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화장품 등에 점차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나노 실리카에 대해서도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술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저자
Yasuo YOSHIOKA, Tomoaki YOSHIKAWA and Yasuo TSUTSUM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65(4)
잡지명
日本衛生學雜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87~492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