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모바일TV 방송 시스템 및 네트워킹 기술

전문가 제언
○ 한국의 원천기술로 개발하여 국제전송표준화 된 DMB 방송서비스가 2006년 독일(뮌헨) 월드컵 개막식 장면을 현지 기자단에 시범서비스를 개시하면서 세계적으로 모바일TV 방송의 개막을 알렸다. 이후 프랑스, 중국 및 멕시코 등지에서 실험방송이 추진되면서 DMB 시장은 방송/통신 융합 시장의 블루오션을 창출하고 있다. 이 기술은 초고속 영상서비스를 위한 패킷서비스 기반의 4G 서비스 상용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국내 이동통신 분야의 영상신호 전송기술에 적용될 수 있는 가치가 있다.

○ 이 기술의 모바일TV 방송시스템의 사용자 권한 전달방법을 보면, 방송권한 연장요청 신호를 수신한 모바일TV 서비스 서버는 프로그램의 크레딧을 식별하여 응답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완료되어도 보안상 큰 문제점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이를 다시 방송서버에 전송하여 협약/계약 동의 크레딧을 재생성하여 서비스 요청신호를 분석함으로써 방송 개시 로그인 소요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어 이를 줄일 수 있는 개선이 필요하다.

○ 이 기술의 모바일TV 신호 주 전송채널인 광대역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2007년 3월 서비스를 개시한 Verizon의‘V CAST TV'는 모두 10개 채널로 월 13~25달러의 요금이 부과된다. 반면에 2008년 5월 개시된 AT&T의 'AT&T Mobile TV'는 12개 채널로 월 15~30달러의 요금이 부과된다. 이 차이는 서비스 지원 단말의 종류와 관련된다. 즉, 전자는 LG전자/모토로라 휴대폰 2종이며, 후자는 삼성전자 휴대폰 2종/LG전자 휴대폰 2종으로 총 4종이다. 이는 곧 사용자의 기기 선택성 보장이 요금체계를 결정할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2009년 초 전 세계 모바일TV 시청자는 4천만 명(전 세계 모바일기기 사용자의 1%)에 불과하였다. 글로벌 기업들의 노력과 투자에 비해 실망스러운 결과이다. 향후 글로벌 서비스 기업들이 수신 칩을 자체 생산/공급함에 따라 시장은 확대추세이며, 2013년 4억5천 명으로 예측되고 있어 모바일TV 시장의 미래는 밝아 보인다. 이에 만족할 만한 성과를 위한 진지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자
QUALCOMM INCORPORATED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WO20100065896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16
분석자
박*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