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가 네트워크와 지역적 지식기반
- 전문가 제언
-
○ 이 글은 “혁신가네트워크와 지역적지식기반”을 주제로 하여 서언, 이론적 배경, 데이터와 방법, 분석결과, 결어 및 향후전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술기반과 관련된 혁신가의 특성과 지역적 혁신가네트워크의 구조간 관계에 초점을 두고 지역적지식기반의 규모가 기업이 지역적 혁신가네트워크에 적극적으로 참가하고 있는 범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는 데 목적을 둔다.
○ 특히, 이 글에서 지역적지식기반의 규모는 지역의 혁신가들이 협력적 활동에 관계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고, 지역적지식기반이 상호보완성을 보이는 정도는 지역적 혁신가네트워크의 연결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지역적 혁신가네트워크가 혁신가간의 지식이전을 위한 도관(conduit)으로서 활동하기 위한 중요한 전제조건은 네트워크에서 연결성의 정도이고, 지역적지식기반이 기술분야에서 전문화된 정도는 지역적혁신가네트워크의 세분화와 관계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 지역적혁신가네트워크는 지역내에서 지식과 정보가 잠재적으로 하나의 조직으로부터 다른 조직으로 이전될 수 있는 지역적 인프라로서 지식의 흐름은 지역적 혁신가네트워크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또한 광범위한 기술분야에서 전문화되어 있고, 강력한 지식기반을 가진 지역은 비교적 세분화된 네트워크구조를 갖게 되는 경향을 보인다.
○ 혁신가는 현재의 연장선상이 아닌 새로운 미래를 창조하는 사람으로서 혁신적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움을 창조해야 한다. 혁신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지식의 연계가 중요하며, 혁신가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치열한 경쟁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성공요인이었던 빠른 추종자(fast follower)로부터 미래의 성공요인이 될 혁신가로 전환해야 하고, 지역적지식기반을 통해 기업은 지역적혁신가네트워크에 광범위하게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Uwe Cantner, AndreasMeder, AnneL.J.terW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0
- 권(호)
- 30
- 잡지명
- Technov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496~507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