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밀 연구의 최근 동향
- 전문가 제언
-
○ 메밀(蕎麥,Fagopyrum esculentum)은 여?과의 1년생 풀로 줄기는 60~90cm이고 대공이 빈 곧고 붉은색을 띤다. 초 가을에 흰 꽃이 총상(總狀) 꽃차례로 모여 피고 검은색의 세모진 모양의 열매는 식용 으로껍질 을 뺀 부분을 가루로 만들어 먹으며 줄기는 가축사료로 사용한다.
○아시아 북중부가 원산지로 동아시아, 만주, 시베리아등지에 분포하는데 서늘하고 습한 기후와메마른 땅에도 잘 적응하고 병충해도 적은 등 장점이 있기 때문에 산간 지방이나 황무지에서도 재배되며, 파종 후10~12주면 수확 할 수 있어 구황 작물로서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되었고 꿀벌의 좋은 밀원 식물이 된다.
○메밀은 70%의 녹말을 함유하여 탄수화물이 풍부하며, 단백질과 지방을 약간 포함하고 또한 철분을 비롯해 니아신,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 비타민B복합체가 많이 들어 있다. 메밀쌀은 그대로 밥을 짓고 가루로 하여 메밀묵·메밀국수·냉면 등의 원료로 쓰인다.
○ 최근 메밀의 특수성분 특히 생리활성기능성분인 루틴, 코린, 시스틴, 비타민B. P, 필수 아미노산등이 존재하여 다이어트, 숙취 해소, 당뇨예방 과 고혈압, 피부미용, 잇몸염증 치료등 다양한 효능이 있으며, 전통적으로 이용해온 냉면외어 더욱 신제품개발에 노력하여 강원도 특산식품으로 정착시킴으로서 농촌소득증대와 무공해 건강식품으로 활용가치가 기대된다.
- 저자
- Ikeda Kiyokazu, Ikeda Sayok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52(3)
- 잡지명
- New Food Indu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1~39
- 분석자
- 이*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