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 전처리 · 효소당화법

전문가 제언
○ 근래 지구온난화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이오에너지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에 따라 보다 원가를 절감한 공정을 개발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현재 바이오에탄올의 생산 등 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의 유효이용을 위한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

○ 미국이 2030년까지 30%의 수송용 자동차 연료를 바이오연료로 대체하겠다는 바이오에너지 실행 목표를 세우고 있는 상황에서 선진 각국에서도 바이오 연료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바이오연료는 바이오디젤과 바이오에탄올을 들 수 있는데, 바이오에탄올의 경우 옥수수와 같은 식량자원 공급과의 충돌로 각국에서 2세대 에탄올 원료로서 목질바이오매스(Lignocellulosic biomass)가 부상되고 있다.

○ 목질바이오매스에는 목재, 볏짚, 갈대, 옥수수대와 같이 섬유질을 다량 포함한 각종 농림폐기물이 포함되지만 이들은 원료의 구성성분과 구조면에서 매우 복잡하여 생산 공정에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목질바이오매스를 원료로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기까지 고효율 저비용 공정개발이 상용화에 핵심기술이 요구되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 우리나라는 미국이나 브라질과 같이 옥수수, 사탕수수 등의 바이오오일 원료의 대량생산이 어려운 환경이다. 따라서 해외의 유휴지나 산지를 개발하여 수입하는 방법도 있겠으나, 보다 저렴하고 국내에서도 풍부한 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는 전처리 및 당화기술 개발에 집중하여 연구해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의 대기업에서도 미래의 신업종으로 ‘바이오리파이너리‘를 대상에 올리고 있는바 이는 지구환경보전과 무한한 식물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인류의 복지를 증진시키겠다는 염원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 인력의 양성과 저변 확대를 위한 국가적 지원도 이뤄져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Kanda Hide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27(11)
잡지명
BIO INDUSTRY(バイオインダストリ-)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3~19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