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출력변동 억제기술

전문가 제언
○ 근래 전력공급에서 저탄소화로 주목하고 있는 태양광발전의 발전량은 계절과 시간에 따라 규칙적인 변동 이외에 날씨의 변화에 따라 불규칙적인 변동을 한다. 이러한 태양광발전의 대량도입은 전력시스템에 다양한 영향이 일어나고 있다.

○ 태양광발전의 본격적인 도입에서는, 광범한 지역에 다수의 태양광발전시스템이 도입될 경우 변동억제 효과를 포함한 발전특성, 대량도입 시의 영향, 장래의 전력시스템 형성을 위한 전력수급 계획, 전력운용 계획 등의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태양광발전의 보급 전망 및 그 영향과 보급을 위한 출력변동 억제기술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 태양광발전의 도입 보급에 따라 발전량의 변동 확대에 대응하는 수급조정방법으로서는 출력변동 억제장치 외에 화력, 양수, 수력 등 기존 발전소의 조정력의 최대 활용, 축전지와 같은 새로운 전력저장 설비의 조정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다.

○ 일본은 2008년 저탄소사회 조성 행동계획에서 2020년 태양광발전을 약 1,400만㎾, 2030년에는 5,300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태양광발전은 2008년도 375MW인 것이 2009년 말에는 524MW로 증가되었다. 앞으로 계속하여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0년 10월 지식경제부는 신재생에너지사업 발전전략으로 2015년까지 태양광발전에 20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였다.

○ 앞으로 태양광발전이 전력공급의 일익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많은 지점에서 태양광발전의 종합적인 발전특성의 파악, 집중?분산에너지 관리의 도입을 포함한 고도의 수급운용 시스템 등 기술개발과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도입 보급에 대응할 수 있는 제품개발, 기술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관련 제도의 정비 및 시책이 필요하다.
저자
OKUTA Yasuo, KIMURA Misa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0
권(호)
65(9)
잡지명
東芝レビュ-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10~14
분석자
유*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