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매스로 바이오연료를 생산하기 위한 전략

전문가 제언
○ 급속한 산업화로 석유자원 소비가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자원 고갈문제뿐만 아니라 환경문제까지 초래되고 있다. 세계 각국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여 석유 대체에너지인 바이오연료를 생산하는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 특히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여러 가지 화학제품과 바이오연료를 생산하는 기술체계를 의미하는 바이오리파이너리(Bio-refinery)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졌으며, 차세대 핵심기술의 하나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 이 기술에 대하여 세계 각국은 기술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 미국은 1970년대부터 농업과 지방 진흥책 및 에너지안보의 관점에서 바이오매스 이용기술을 개발해 왔다. 특히 1999년에는 대통령령을 통해 바이오매스 이용기술의 조기 확립을 국가의 전략으로 채택하였으며, 이는 IT 기술과 함께 신산업 창조를 위한 핵심기술로 지목되고 있다.

○ 우리나라는 인구에 비해 국토가 좁으므로 바이오연료의 원료가 되는 바이오작물이나 곡물 등을 생산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아 바이오연료 개발에 불리한 여건 속에 있다. 그러나 농림수산업의 부산물이나 국토의 70%를 차지한 산지에서 나오는 목재자원을 바이오에너지의 원료로 사용하면 어느 정도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할 것이다.

○ 그러나 바이오매스 가스화공정의 경우는 고열가스 정제를 위한 촉매와 공정이 아직까지 충분한 성능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현재로서의 산업화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계속적인 연구와 검토가 요망된다.

○ 석유,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가 바이오연료산업을 갖추기 위해서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미활용 목질계 및 초본계의 천연 바이오매스와 농림수산업 폐기물, 폐지, 음식물쓰레기, 오수 등의 바이오매스 자원을 원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원료를 효율적으로 수집, 운반하는 기술과 이를 종합 처리하는 시스템 및 평가시스템 등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Akihiko Kondo, Chiaki Ogino, Tomohisa Hasunuma, Tsutomu Tanaka, Kazunori Nakaji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27(11)
잡지명
BIO INDUSTRY(バイオインダストリ-)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6~12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