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수 수계에 영향을 미치는 신 유기오염물질
- 전문가 제언
-
○ 근년 폐수와 수계에 존재하는 신 오염물질(emerging contaminants)은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신 오염물질은 의약품, 계면활성제, 내분비계 장애물질, 마약류 등을 포함하는데, 현재 대부분은 통제 대상이 아니다. 따라서 앞으로 유해성 연구를 통해 규제해야 할 오염물질을 가려내야 한다.
- 의약품의 경우, 세계적으로 여러 가지 약품이 상당량 사용되고 있다. 한 예를 들면, 1988년 프랑스, 2001년 독일, 2001년 캐나다 및 2003년 스페인의 ibuprofen(소염진통제의 일종) 소비량은 각각 166, 128, 180 및 276톤에 달했다고 한다.
- 항생제의 경우, 미국 및 유럽은 각각 연간 약 23,000 및 10,000톤을 소비하는데, 약 절반은 인간의 약으로 나머지는 가축병 치료 등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이 항생제와 대사산물은 폐수에 함유돼 폐수처리장에 도달하며 궁극적으로 수계에 신 오염물질로 존재하게 된다.
○ 항균 세정제 원료인 트라이클로산(triclosan)은 세계적으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2010년 4월 미국 식품의약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은 항균 손 세정제에 사용되는 트라이클로산이 건강에 특별한 이점이 없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현재 우리나라도 트라이클로산을 화장품, 비누, 세제, 치약 등 제조에 사용하고 있어 이에 대한 안전성 연구가 수행돼야 하겠다.
○ 약의 반응성 물질은 어느 정도까지만 신진대사가 된다. 신진대사가 되지 않은 반응성 물질 대부분은 소변으로, 나머지는 대변으로 배설된다. 따라서 병원은 수계의 여러 신 오염물질의 주 근원이다. 환경부는 2001년 12월 31일 병원폐수배출시설의 적용범위를 종합병원에서 100병상 이상의 병원으로 확대하는 내용의 수질환경보전법 시행규칙 개정령을 발표했다. 그래서 모든 병원은 동법 규정에 따라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배출허용기준 이내로 처리하기 위한 수질오염방지시설을 갖춰야 한다.
- 저자
- Amrita Pal, Karina Yew-Hoong Gin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408
- 잡지명
-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062~6069
- 분석자
- 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