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무상의 나노구조 제어에 의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신개발
- 전문가 제언
-
○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는 플라스틱과 고무의 중간의 성질을 갖는다. 즉 고무와 같이 유연한 성질인 탄성, 복원력 및 내충격성이 뛰어나면서도 플라스틱처럼 사출 성형방법으로 쉽게 가공할 수 있는 획기적인 소재이다.
○ 종래의 엘라스토머는 고무상의 분산 크기가 수 ㎛ 레벨이지만 그것을 나노미터 레벨로 제어함으로써 우수한 물성이 발현되는 것이 기대된다. 매트릭스 중에 분산한 고무상의 나노 레벨 구조제어에 의해 조정된 새로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PVDF/ACM계의 구조와 물성에 관해서 소개하였다.
○ 불소 함유 PVDF/ACM계 엘라스토머의 특성은 가교제 첨가량을 변경할 때의 TPE의 응력-변형곡선(S-S커브)을 보여주었고 나노 구조형성에 의해 그 잔류 변형은 28%로 매우 우수한 수치로 보여주었다. 팽윤성은 PVDF/ACM계에서는 15%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TPE를 140℃에서 2주간 오븐 중에 에이징을 시행하여도 대부분 그 특성이 변화하지 않았다. 또한 내열성이 극히 양호하며 성형 가공성도 우수함을 관찰하였다.
○ TPE는 기존의 열경화성 고무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서 자동차, 건축, 포장용기 및 의료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가 급신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고무 및 연질 PVC의 대체 소재, 자동차 에어백 커버용 소재 등을 개발하여 수입 소재를 대체하고 있다.
○ TPE는 가교 고무에 비해 리사이클성도 우수하여 환경성 대체 소재로서 도 기술개발이 활발하다. 현재 TPE은 단순 블랜드 타입과 동적 가교 타입, 그리고 중합 타입으로 대별한다. 최근에는 더욱 새로운 재료 설계기술과 중합기술에 의해 유연성, 충격 완화성 및 내마모성 등의 우수한 고기능성을 갖는 서브미크론 및 나노 크기의 분산구조 제어의 신소재들의 개발을 전망하고 있다.
- 저자
- Yongjin L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30(9)
- 잡지명
- 機能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8~32
- 분석자
- 이*복
- 분석물
-